수소 H2 질소 N2 산소 O2 플루오린 F2 염소 Cl2 브로민 Br2 아이오딘 I2
◈ 기본원칙 - GHS는 모든 유해성·위험성 화학물질에 적용 - 통일된 시험방법의 확립 및 추가 시험의 개발은 포함하지 않음 - 동물 시험 자료, 시험관 내 시험, 사람에서의 경험, 역학자료 및 임상 시험 결과는 GHS의 주요 분류 정보원임 - 벽돌쌓기 접근방법(Building block approach)을 통하여 GHS 적용 시 국가 또는 부문 간의 특성화 가능 ◈ 적용범위 - 화학물질의 물리적 위험성 및 건강·환경 유해성 판정기준 - 유해성·위험성 정보전달 도구인 경고표지와 MSDS의 구성요소 ◈ 벽돌쌓기 접근방법(Building block approach) - 각 국 또는 각 부처는 벽돌쌓기 접근방법에 의해 자유롭게 유해성· 위험성 분류 단계 적용 가능 - 유해성·위험성 판정기준 및 요건이 일치하면..
GHS(세계조화시스템)이란? ※ GHS : Globally Harmonized System GHS는 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and labelling of chemicals 의 줄임말로서 화학물질의 분류 및 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GHS)으로 우리말로 표시할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분류기준에 따라 화학물질의 유해성 ·위험성을 분류하고, 통일된 형태의 경고표지 및 MSDS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말한다. 2022.03.26 - [일반화학] - 웹에서 바로 화학구조식을 그릴수 있는 사이트 (Chemdraw 샘플) 웹에서 바로 화학구조식을 그릴수 있는 사이트 (Chemdraw 샘플) 웹에서 바로 화학 구조식을 그릴 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MSDS 는 Material Safery Data Sheet 의 약어로 우리말로는 '물질 안전 보건 자료' 라고 합니다. MSDS 는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성, 구성 성분의 명칭 및 함유량, 응급조치요령, 취급 방법 등을 설명해주는 자료 (Material Safery Data SHeets: MSDS)를 말하며, 우리가 의약품을 구입하면 그 성분 및 함량, 효능, 부작용 등을 알려주는 설명서가 있듯이 화학제품의 안전사용을 위한 정보자료가 바로 MSDS 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내외 MSDS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http://www.kosha.or.kr) 국외 MSDS 포털사이트(http://www.ilpi.com/msds/) 미국 버먼트대학교(http://w..
INCHEM(다양한 국제기관의 화학물질정보를 통합검색) http://www.inchem.org/ NITE(일본의 GHS 분류 결과, 화학물질정보 등을 검색 및 열람) http://www.safe.nite.go.jp/ NLM(미국의 국립의학 도서관 제공 화학물질 정보) http://chem.sis.nlm.nih.gov/ TOXNET(독성, 유해 화학물질 등에 대한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합 검색) http://toxnet.nlm.nih.gov/ SIDS(OECD 가입 국가에서 기여하는 화학물질에 대한 자세한 위해성 보고서) http://www.chem.unep.ch/irptc/sids/OECDSIDS/sidspub.html Echa C&L Inventory database(고지되거나 등록된 물질에 대한 분..
①재결정(분별 결정) 용해도가 차이가 나는 고체 혼합물을 높은 온도에서 녹여 냉각시키면 용해도 차이로 녹아 있던 고체가 석출된다 용해도의 차이 이용 예)질산칼륨과 미량의 소금 혼합물을 재결정하면 순수한 질산칼륨을 얻음 ②승화 승화성 고체와 비승화성 고체가 혼합되어 있을 때 가열하면 승화성 물질이 승화되어 분리되는 방법 ③추출 혼합물에서 한 종류만이 용해되는 용매로 목적하는 물질을 녹여 분리하는 방법 용매의 선택적인 용해성 이용 예)에테르를 용매로 사용하여 콩 속에 있는 유지를 추출
-시약사이트 www.chemexper.com : IR도 있음 www.chemfinder.com : IR및 여러 사이트 링크 www.sigmaaldrich.com : NMR도 있는. http://en.wikipedia.org : 백과사전틱하게 되어있는. -열역학적 정보 http://webbook.nist.gov/chemistry/ : 엔탈피같은 데이터들 -분광학적 정보 http://www.aist.go.jp/RIODB/SDBS/sdbs/owa/sdbs_sea.cre_frame_sea :NMR이랑 IR같은 데이터들. -pKa테이블 http://daecr1.harvard.edu/pdf/evans_pKa_table.pdf : pKa테이블. -유기반응찾아볼때 www.orgsyn.org -단백질 3D 구조를 알고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haros/btqx7kT85oq/rlkWW9coJvpoKhbxyi9ne1/img.jpg)
부피플라스크 volumetric flask 를 이용한 용액제조 부피플라스크는 수용기구로서, 표준용액을 조제할 때나 시료용액을 일정배율로 희석할 때 사용된다. 표준용액을 조제할 때는 일정한 양의 용질을 천칭으로 칭량하여 비커에서 소량의 물로 녹인 다음 깔대기로 부피플라스크에 용액을 옮기고 또한 비커를 물로 여러번 씻어 세액을 모두 메스플라스크에 넣는다. 용질을 완전히 녹이고 세척병으로 물을 표선까지 조심스럽게 채운 후 뚜껑을 하여 잘 혼합한다. 용액을 희석할 때 발열이 되는 경우는 80%정도의 물을 가하여 잘 혼합하고 실온이 될 때까지 방치하여 두었다가 물을 표선까지 채운다. 부피플라스크에 용액을 넣고 가열하거나 발열성 물질을 넣고 녹여서는 안된다. 또 광분해 하는 시약(AgNO3, KMnO4)은 갈색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