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베는 일본어입니다. 대신 우리말 "입방미터"를 사용하면 된다고 하네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고 제 2019- 0584호 2020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사업 상반기 신규과제 공모 2020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사업 상반기 신규과제 선정지원 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19년 11월 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최기영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노정혜 1. 사업개요 □ 사업목적 ○ 창의적ㆍ도전적 기초연구 강화와 우수 연구자 양성을 통해 과학기술 미래역량 확충에 기여 ◈ 연구자들이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주제를 자유롭게 제안하고 평가를 통해 지원받는 자유 공모형 ‘연구자 주도 기초연구사업’을 ’20년도 1조 5,197억원 지원 ※ (과기정통부 소관) (’19년) 1조 2,006억원 → (’20년) 1조 5,197억원(+3,191억원) □ 지원계획(수학분야 제외) ※..
본 예비선정 공고는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추경사업) 신규과제 예비선정 공고입니다. ○ 2019년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추경사업)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고 과제를 신청해 주신 연구자 여러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 본 사업의 “예비 선정과제”를 아래와 같이 공고하오니 확인하여 주시기 바라며, 예비 선정과제 중 “표절과제, 중복지원과제, 기 수행과제”가 있는 경우 아래 공고기간 중 문의처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예비 선정과제 전체 리스트 보기 접수시 선택하신 접수 유형을 확인 후 해당 목록에서 예비선정 여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 (접수유형 A)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추경사업) (←사업명 클릭 !) - (접수유형 B) 시간강사연구지원사업(추경사업) (←사업명 클릭 !) ※ 과제명을 클릭하시면 예비선정과제의 ..
반응열 反應熱 (heat of reaction) 1. 반응열 : 화학반응이 일어날때에는 열이 발생되거나 흡수된다. 이때 발생 또는 흡수되는 열량을 반응열이라 한다. 반응열은 반응물질과 생성물질에 저장된 열량이 다르기 때문에 생긴다. 2. 엔탈피 : 어떤 물질이 일정한 압력에서 생성되는 동안에 그 물질속에 저장된 열에너지를 엔탈피라고 하고 기호 H로 표시한다. 엔탈피는 직접측정할 수 없으나 압력이 일정할때 반응열의 출입을 측정함으로 엔탈피의 변화를 계산할 수 있다. △H = 생성물질의 총 엔탈피 - 반응물질의 총 엔탈피 1) 생성물질의 엔탈피가 반응물질의 엔탈피보다 작은경우에는 발열반응이며 △H는 -값을 갖는다. 2) 생성물질의 엔탈피가 반응물질의 엔탈피보다 클경우에는 흡열반응이며 △H는 + 값을 갖는다...
로스앤젤레스--(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19년 11월 21일 -- 인간의 원대한 도전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센티브 경연대회를 설계, 운영하고 있는 글로벌 리더인 엑스프라이즈(XPRIZE)가 1000만달러 열대우림 엑스프라이즈($10M Rainforest XPRIZE)상을 19일 공식 발표했다. 이 경연은 열대우림의 생물 다양성을 확인 및 목록을 작성하고 상존하는 삼림을 통해 기술 혁신자들이 새로운 생물경제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통찰력을 얻게 하는 기술을 창안하도록 장려하는 대회이며 4년에 걸쳐 진행된다. 현재 경연대회 지원 접수 중이다. 열대우림은 계속 과소 평가되고 있어서 지난 20년 동안 빠르게 소모되어 왔다. 내셔널 지오그래픽(National Geographic)에 따르면 과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nWHgJ/btqzYbVeqvH/hElE89yUQAa3bA1r4ITxw0/img.png)
https://clarivate.co.kr/category/news-rooms/2019HCR [보도자료] 2019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HCR 발표 - Clarivate Korea clarivate.co.kr 울산과기원에서는 로드니 루오프 특훈교수(화학·재료과학), 조재필 특훈교수(재료과학), 김광수 특훈교수(크로스 필드), 석상일 특훈교수(크로스 필드), 백종범 교수(크로스 필드), 이현욱 교수(크로스 필드)가 HCR에 이름을 올렸다.
HCR(Highly Cited Researcher)은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가 상위 1% 피인용 논문인 HCP(Highly Cited Paper)를 기반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를 선정해오는 독자적인 선정 기준이며, 클래리베이트가 보유하고 있는 Essential Science Indicators (ESI)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https://clarivate.co.kr/special-program/hcr_what_it_means/
태양의 복사에너지 이다. 태양에너지는 흑점과 같은 태양활동의 변화 또는 지구의 공전궤도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대기의 상부에서 태양 에너지는 약 1370 W m-2인데 지구 전체에 대하여 평균을 취하 면 약 342 W m-2가 된다. 들어온 태양에너지의 약 30%는 우주 로 반사되고 나머지(약 240 W m-2)는 기후시스템에 의해 흡수 되어 지구의 기후를 유지한다. (기후변화 과학적 이해와 대응, 권원태, http://webzine.kps.or.kr/contents/data/webzine/webzine/14762094161.pdf)
[1] 기체의 일반적 성질 (1) 분자간의 거리가 멀고. 인력이 약함. (2) 빠른 속도로 자유롭게 운동. ※ 분자운동 ; 병진운동, 회전운동, 진동운동. (3) 일정한 모양과 형태가 없다. (4) 압력 ; 기체 분자가 용기의 벽에 충돌해서 생기는 힘. ※ 기체 분자 운동론의 가정 ① 기체 분자는 지속적이고 불규칙한 직선운동 (병진 운동) ② 기체 분자는 완전 탄성체라 가정함. ③ 기체 분자 자체의 부피는 무시함 ④ 분자간의 인력 및 반발력이 없다고 가정 ⑤ 기체분자의 평균 운동에너지는 절대온도에만 비례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gonDP/btqzOWJCfCH/DPN7WG5R1YKy44wrhiy3BK/img.jpg)
산성 산화물(酸性酸化物)은 물과 반응하여 산을 만들거나, 염기와 반응하여 염을 만드는 산화물을 말한다. 비금속, 또는 산화수가 큰 금속의 산화물이다. 산성 산화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이산화 탄소: 물과 반응하여 탄산이 되거나, 염기와 반응하여 탄산염을 만든다. 이산화 황: 물과 반응하여 불안정한 아황산을 만들거나, 염기와 반응하여 아황산염을 만든다. 이산화 규소: 물과는 반응하지 않지만, 염기와 반응하여 규산염을 만든다. 삼산화 크로뮴(CrO, Cr2O3, CrO3): 물과 반응하여 크로뮴산과 다이크로뮴산을 만들고, 염기와 반응하여 크로뮴산염을 만든다. 참고: https://ko.wikipedia.org/wiki/%EC%82%B0%EC%84%B1_%EC%82%B0%ED%99%94%EB%AC%B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