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하얗게 변한 머리카락, 모낭 속 줄기세포야 힘을 내!
지난달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지에 모발의 색을 결정하는 줄기세포의 작용원리를 규명한 연구결과가 게재됐다. 뉴욕대학교 그로스만의대 연구원 연구진은 모낭 속 멜라노사이트 줄기세포의 독특한 특성들과 모발의 색을 결정하게 되는 과정을 확인해 흰머리를 예방, 또는 되돌릴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발견했다.
환경을 위해 텀블러를 쓰는 당신, ‘환경 빌런’일 수도?
환경 보호를 위해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려는 작은 실천이 늘고 있다. 그런데 이제는 일회용품과 다회용품이 동시에 지구 환경을 공격하는 모양새다. 최근 환경을 보호하고자 제품을 구매하고 사용하는 행위가 오히려 환경에 해가 되는 리바운드 효과(rebound effect)가 이슈로 등장했다. 환경 전문가들은 현재 다회용품 사용이 일회성이라는 역설적 현상을 비판한다.
제임스 웹, 238P/Read 혜성을 자세히 관측하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활성 소행성 238P/Read에서 물과 가스를 발견하였다. 특히, 소행성대의 혜성 주변에서 가스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기에 매우 중요한 발견으로 평가받고 있다.
“생쥐 간에 사람 간세포 이식했더니…생체리듬이 변했다”
사람은 물론 단세포 생물에서 각종 동물과 식물에서도 나타나는 일정한 주기의 생체리듬을 결정하는 '일주기 생체 시계'(circadian clock)를 간세포(liver cell)가 제어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챗GPT, 영상의학 전문의 시험 통과 수준…신뢰성 한계도 노출”
생성형 인공지능(AI) 챗봇 챗GPT가 북미영상의학회(RSNA) 전문의 자격시험을 통과하는 수준의 성적을 얻어 큰 잠재력을 입증했으나 동시에 임상에 적용하기 어려울 정도의 큰 신뢰성 한계도 드러낸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 토론토대 메디컬이미징센터 라제시 바야나 교수팀은 17일 북미영상의학회 학술지 '영상의학'(Radiology)에서 북미영상의학회 전문의 자격시험 문제로 GPT-3.5와 GPT-4 기반 챗GPT를 각각 테스트한 결과 GPT-4는 합격선을 넘는 성적을, GPT-3.5는 합격선에 근접한 성적을 올렸다며 이같이 밝혔다.
새로운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도나네맙의 임상 3상 성공
2023년 5월 3일에 발표된 보도 자료에 따르면, 일라이 릴리는 도나네맙이 초기 알츠하이머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인지 및 기능 저하를 현저히 늦췄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알츠하이머 협회의 최고 과학 책임자인 마리아 카릴로는 "지금까지 나온 알츠하이머 치료제로는 가장 강력한 3상 데이터"라고 전했으며 알츠하이머 유럽 협회도 위 소식을 크게 환영했다.
목성 위성 ‘이오’처럼 화산활동 많은 외계행성 관측
지구에서 약 90광년 떨어진 컵자리에서 목성의 위성(달) '이오'처럼 표면에서 화산 폭발이 활발히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는 지구와 비슷한 크기의 외계행성이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이 행성은 화산 활동으로 대기를 가져 기온이 낮은 지역에는 생명체 출현과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로 꼽히는 물이 존재할 것으로 제시됐다.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확정…”지리 여건·산업 고려”
정부가 우리나라 지리적 여건과 산업 구조, 기술 수준 등을 고려한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을 확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서울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대회의실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탄소중립기술특별위원회' 제7회 회의를 열고 탄소중립 분야 기술개발 정책 방향이 될 100대 기술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자외선 차단’ 미기록 미생물 16종 발견…화장품 개발에 활용
국내 연구진이 자외선의 악영향을 막고 항산화 작용을 하는 색소를 만들어내는 미생물을 찾아냈다. 국립생물자원관과 서명지 인천대 교수 연구진은 자외선에 내성을 지닌 국내 미기록 고균(Archaea) 16종을 찾아냈다고 17일 밝혔다. 고균은 박테리아와 같이 DNA가 핵막으로 둘러싸이지 않은 원핵생물이다.
세포 생존율 높은 바이오잉크 개발…해조류·가시광선 이용
국내 연구진이 해조류와 가시광선을 이용해 세포 생존율이 높은 바이오잉크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융합대학원 차형준 교수, 화학공학과 박사과정 이상민씨, 최근호 박사 연구팀이 해조류에서 유래한 천연 탄수화물과 인체에 해가 없는 가시광선을 이용해 바이오잉크를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5월 25일, 06시 20분) (0) | 2023.05.25 |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5월 24일, 06시 20분) (0) | 2023.05.24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5월 21일, 06시 21분) (0) | 2023.05.21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5월 18일, 06시 20분) (0) | 2023.05.18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5월 17일, 06시 20분)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