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간 과학 인기 뉴스 TOP 10 입니다. (23년 05월 24일, 06시 20분)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하얗게 변한 머리카락, 모낭 속 줄기세포야 힘을 내!
지난달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지에 모발의 색을 결정하는 줄기세포의 작용원리를 규명한 연구결과가 게재됐다. 뉴욕대학교 그로스만의대 연구원 연구진은 모낭 속 멜라노사이트 줄기세포의 독특한 특성들과 모발의 색을 결정하게 되는 과정을 확인해 흰머리를 예방, 또는 되돌릴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발견했다.

환경을 위해 텀블러를 쓰는 당신, ‘환경 빌런’일 수도?
환경 보호를 위해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려는 작은 실천이 늘고 있다. 그런데 이제는 일회용품과 다회용품이 동시에 지구 환경을 공격하는 모양새다. 최근 환경을 보호하고자 제품을 구매하고 사용하는 행위가 오히려 환경에 해가 되는 리바운드 효과(rebound effect)가 이슈로 등장했다. 환경 전문가들은 현재 다회용품 사용이 일회성이라는 역설적 현상을 비판한다.

새로운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제 도나네맙의 임상 3상 성공
2023년 5월 3일에 발표된 보도 자료에 따르면, 일라이 릴리는 도나네맙이 초기 알츠하이머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인지 및 기능 저하를 현저히 늦췄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알츠하이머 협회의 최고 과학 책임자인 마리아 카릴로는 "지금까지 나온 알츠하이머 치료제로는 가장 강력한 3상 데이터"라고 전했으며 알츠하이머 유럽 협회도 위 소식을 크게 환영했다.

제임스 웹, 238P/Read 혜성을 자세히 관측하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활성 소행성 238P/Read에서 물과 가스를 발견하였다. 특히, 소행성대의 혜성 주변에서 가스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기에 매우 중요한 발견으로 평가받고 있다.

“생쥐 간에 사람 간세포 이식했더니…생체리듬이 변했다”
사람은 물론 단세포 생물에서 각종 동물과 식물에서도 나타나는 일정한 주기의 생체리듬을 결정하는 '일주기 생체 시계'(circadian clock)를 간세포(liver cell)가 제어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작은 배려와 친절, 전 세계에서 2분마다 한 번씩 일어나…
작은 친절이 전 세계 모든 문화권에서 2분마다 일어날 만큼 보편적 정서이며, 작은 규모의 사회일수록 협력에 대한 의사결정이 더 자주 일어난다는 연구결과가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실렸다. 로시(Giovanni Rossi) UCLA 사회학 교수와 국제협력 연구팀은 인간이 ‘협력’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는 패턴에 대해 연구한 결과 일상적이고 가벼운 도움이 약 2분에 한 번씩 발생하는 것으로 발견했다.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확정…”지리 여건·산업 고려”
정부가 우리나라 지리적 여건과 산업 구조, 기술 수준 등을 고려한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을 확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일 서울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대회의실에서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탄소중립기술특별위원회' 제7회 회의를 열고 탄소중립 분야 기술개발 정책 방향이 될 100대 기술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목성 위성 ‘이오’처럼 화산활동 많은 외계행성 관측
지구에서 약 90광년 떨어진 컵자리에서 목성의 위성(달) '이오'처럼 표면에서 화산 폭발이 활발히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되는 지구와 비슷한 크기의 외계행성이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이 행성은 화산 활동으로 대기를 가져 기온이 낮은 지역에는 생명체 출현과 유지에 필수적인 요소로 꼽히는 물이 존재할 것으로 제시됐다.

누리호 3차 발사 D-1, 다시 또 우주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 3차 발사는 실용급 위성을 탑재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국내 우주산업 생태계의 기술 고도화를 앞당길 중요한 이정표라는 의미를 갖는다. 온 국민의 관심과 응원을 받으며 발사를 하루 앞둔 누리호. 성공의 염원을 담아 지난 발사 때와 달라진 점, 비행 시퀀스 등 누리호가 밟아온 궤적을 따라가 본다.

모기는 어떻게 공격대상을 정할까…”체취 중 카르복실산이 타깃”
모기는 사람 몸에서 나는 체취를 이용해 먼 곳에 있는 사람을 찾아내며 피를 빨 대상을 선택하는 데에는 체취에 섞여 있는 카르복실산 성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