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전고체 배터리, 어디까지 알고 있니?
최근 뉴스, 신문기사 등에서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있다. 바로 '전고체 배터리'이다. 전고체 배터리는 간단하게 말해서, 고체 전해질로 채워진 배터리를 의미한다. 오늘날 주로 사용되는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의 뒤를 이을 차세대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에 대해 살펴본다.
기후 변화는 다시 한 번 우리를 멸종 위기에 빠뜨릴 수 있다
2023년 상반기 기준 전 세계 인구는 약 80억 명이다. 그런데 90만 년 전 현생 인류의 조상이 약 1,280명만 살아남아 대멸종 위기에 처해있었음을 밝힌 연구 결과가 공개되었다. 유전자 분석을 통해 들여다본 인류의 과거를 살펴본다.
전염병 잠재력을 가진 또 다른 박테리아 수막구균
최근 미국에서 수막구균 감염증 환자가 갑작스럽게 증가하고 있다. 수막구균은 그람 음성 세균의 일종으로, 세균성 수막염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원인균 중 하나이다. 수막구균은 인간만을 숙주로 하여 증식하고 호흡기에서 방출된 비말을 통해 전파된다.
산불, 세계 탄소 저장고를 앗아가고 있다
산은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 '탄소'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인간들이 배출하는 탄소량의 30%가 육상 생태계(산림)에 흡수되기 때문에 지구를 지키기 위해 산은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존재이다. 하지만 최근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대규모 산불로 인해 '탄소 저장고'의 역할을 하던 산은 오히려 '탄소 공급원'이 되어가고 있다. 이를 대처하기 위한 인간의 역할은 무엇일까?
원하는 길 따라 굴러가는 ‘말 잘 듣는’ 공
표면 형태가 아닌 자신의 형태에 따라 가야할 길을 결정하는 입체 도형이 나왔다. '트라젝토이드'는 로봇 공학부터 양자 컴퓨팅까지 두루 응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아줄기세포로 수정 14일 단계 ‘인간 배아 모델’ 만들었다”
이스라엘 연구팀이 정자와 난자, 자궁 없이 유전적으로 변형되지 않은 배아줄기세포로 수정 14일 단계의 완전한 인간 배아 모델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스라엘 바이츠만연구소 제이컵 한나 박사팀은 7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에서 화학물질로 인간 배아줄기세포의 분화를 유도, 수정 후 14일 단계의 정상 배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세포와 3D구조까지 보여주는 ‘줄기세포 기반 배아 모델'(SEM)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인간 SEM이 구조적으로 정상적인
‘심해 청소부’ 버뮤다 해역 미스터리 세균, 실험실서 배양
한국연구재단은 인하대 조장천 교수 연구팀이 심해 미생물 군집의 최대 30%를 차지하는 ‘사르202 세균’의 실험실 배양과 게놈 해독에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이 세균은 1993년대 버뮤다 해역에서 발견된 미스터리 미생물로, 지난 30년간 이 세균을 실험실에서 배양한 과학자는 아무도 없어 후속 연구가 지체된 상황이다. 연구팀은 서해 바닷물을 채취해 미생물을 키울 수 있는 배지를 만들고, 미생물 세포를 주입한 후에
“코로나 후유증 ‘브레인포그’ 원인은 혈전일 수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장기 후유증(롱코비드) 가운데 하나인 인지 장애의 발생 원인이 혈전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사이언스지 등에 따르면 영국 옥스퍼드대학과 레스터대학 연구팀이 코로나19 감염으로 입원했던 성인 환자 1천837명을 조사한 결과, 이들은 대체로 입원 기간에 혈전과 관련 있는 단백질 2개의 수치가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두개의 단백질은 피브리노겐과 D-이합체(D-dimer)다. 이들 단백질 수치가
녹색성장은 허구?…“선진국도 현 추세면 탄소중립 200년 걸려”
10여년간 탄소 배출량은 줄이면서 GDP는 증가하는 소위 ‘녹색성장’을 이룬 고소득 국가들도 배출량 감축이 파리협약 요건에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 추세대로면 영국·프랑스·독일 등 11개 고소득 국가도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데 평균 200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측됐다. 스페인 바르셀로나 자치대 환경과학기술연구소 제이슨 히켈 교수팀은 5일 국제학술지 ‘랜싯 플래니터리 헬스(Lancet Planetary Health)에서 고소득 11개국의 탄소 배출량 감축과
파라오의 유모 미라 분석해보니…“고급 향유·수입물질로 처리”
3천500년 전 이집트 파라오 아멘호테프 2세의 유모 ‘세넷나이'(Senetnay)의 미라를 분석한 결과 처리 과정에 고급 향유와 인도·동남아시아 등에서 수입된 물질 등이 사용된 것으로 밝혀졌다. 독일 막스플랑크 지질인류학 연구소(MPIG) 바버라 후버 박사팀은 1일 과학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서 이집트 ‘왕들의 계곡'(Valley of the Kings) 왕실 무덤에서 발굴된 세넷나이 미라의 장기 보관 항아리를 분석,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9월 11일, 06시 21분) (0) | 2023.09.11 |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9월 10일, 06시 21분) (0) | 2023.09.10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9월 08일, 06시 20분) (0) | 2023.09.08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9월 07일, 06시 21분) (0) | 2023.09.07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9월 05일, 06시 21분) (1) | 2023.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