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식(empirical formula) 실험식은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와 수를 가장 간단한 정수비로 나타낸 식이다. 1. 화합물의 원소 분석을 통하여 성분 원소의 질량 또는 질량의 백분율 (%) 을 구한다 2. 각 성분 원소의 질량, 또는 질량 %를 원질량으로 나누어 원자수의 비를 구한다. 3. 원자수의 비를 간단한 정수비로 나타낸다. 시성식과 구조식 시성식은 물질의 특성을 나타내는 작용기를 , 구조식은 원자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식이다. 분자식 분자식은 분자를 이루고 있는 원자의 종류와 수를 모두 나타낸 식이다. 1. 실험식에서 실험식량을 구한다. 2. 분자량을 구한다. 3.분자량/실험식량 = n 을 구한다. 4 (실험식)n = 분자식 Reference : http://www.ezchem.pe...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TK4eX/btryezbd0Rx/o9QBSPWkSEZ8vXFMyK0HNK/img.png)
화학 구조식을 그리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퍼킨엘머에서 제공하는 ChemDraw 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유료로 구입을 해야 사용할 수 있는데요. 대학원 같은 경우는 학교에서 라이센스를 구입해서 공유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일반인 사용자들이 구입하기에는 가격이 부담되기 때문에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알아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화학 구조식을 그릴 수 있는 무료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ChemSketch 를 소개해드릴까합니다. 2021.02.28 - [일반화학] - [1] ChemSketch 로 방향족 화합물 구조 그리기 [1] ChemSketch 로 방향족 화합물 구조 그리기 이전에 화학 구조식을 그릴수 있는 무료 프로그램으로 ChemSketch 를 소개해드렸습니다. 다음글을 보시면..
" 이름 분야 소속 이상문 크로스 필드 경북대 정성화 공학 경북대 강신민 수학 경상대 전영배 크로스 필드 경상대(퇴직) 박은정 약리학&독성학 경희대 임종환 농학 경희대 정서영 크로스 필드 경희대 김종승 화학 고려대 노준홍 크로스 필드 고려대 임상혁 크로스 필드 고려대 옥용식 크로스 필드 고려대 지광습 크로스 필드 고려대 (중국 China Univ Petr) 이노현 크로스 필드 국민대 박광식 약리학&독성학 동덕여대 악셀 팀머만 (Axel Timmermann) 크로스 필드 부산대 (IBS) 홍병희 물리학 서울대 최장욱 물리학 서울대 천종식 미생물학 서울대 강기석 크로스 필드 서울대 이규태 크로스 필드 서울대 조명행 크로스 필드 서울대 김대형 재료과학 서울대 (IBS) 현택환 화학 서울대 (IBS) 재료과학 ..
기초과학연구원(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이 중국, 스위스 연구진과 함께 화이트 그래핀을 100㎠의 대면적으로 만드는 데 성공, 유연한 차세대 반도체 제작 가능성을 열었다. 연구결과는 23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실렸다. 화이트 그래핀은 '꿈의 신소재' 그래핀을 구성하는 탄소(C) 원자를 붕소(B)와 질소(N) 원자로 치환한 소재다. 원자 한 층 정도로 이뤄진 얇은 평면구조는 그래핀과 유사하지만 그래핀과 달리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 그래핀과 화이트 그래핀을 번갈아 쌓으면 반도체를 만들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출처: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1905223944Y '화이트 그래핀' 반도체 나올까…대면적 합성 성공 면적 1만배↑…IBS ..
" 오픈 액세스를 대하는 방법 DOAJ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다수의 평가를 받은 오픈 액세스 저널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최소한의 조건을 갖췄다는 정도의 의미이고 등록된 곳이라 하여 무조건 다 훌륭한 곳이라 볼 수는 없습니다. ROAD (the Directory of Open Access scholarly Resources): 게재된 오픈 액세스 논문의 ISSN넘버를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 2014년부터 서비스되고 있으며, MARC XML 형식을 지원합니다. 오픈 액세스 저널에 게재된 논문을 좀 더 공식화할 수 있습니다. 사이엘로 (SciELO): 전자과학도서관을 지향하는 협회입니다. 제출된 논문의 엄격한 심사를 바탕으로 신뢰를 쌓아가고 있으며, 브라..
" 워드를 사용하다보면 문서내의 단어 개수를 확인해야할 때가 있는데요. 오늘 포스트에서는 문서 내에서 어떻게 단어 개수를 확인하는 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워드내에서 단어 개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번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위쪽 메뉴에서 검토 -> 단어 개수를 클릭함으로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위에서 보이는 캡쳐화면을 따라하시면 쉽게 아래와 같이 페이지 수, 단어수, 문자 수, 단락수, 줄수 등등의 문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단어 개수를 알 수 있는 두번째 방법은 문서 왼쪽 하단에 나오는 정보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는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위에서 알려드린 방법과 같이 조금 더 자세한 정보는 얻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개인적으..
논문 작성시에 참고문헌은 필수적으로 입력하게 되어있습니다. 이러한 일을 조금 더 편리하게 해줄 수 있게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들도 많이 알려져 있는데요. 유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부터 무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들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엔드노트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엔드노트 이외에도 멘델레이, 조테로 등의 참고문헌 정리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각각의 프로그램의 장단점은 사용자들에 따라 크게 다르기 때문에 먼저 여러 자료들을 검토해보시고 본인에게 적합한 프로그램을 선정하는게 좋을 거란 생각이 드네요! 엔드노트(Endnote) 엔드노트는 톰슨 로이터 사에서 제공하는 논문 및 서지 관리도구입니다. 개인적으로 엔드노트를 설치하고 참고문헌 작성하는데 Web of Science 에서 바로 연동되서 논문..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nIosc/btqubCqjAZV/NJUv4pPCTjiKjkEEDz8pH0/img.jpg)
화학 실험 레포트를 쓸 때 실험에 사용하는 시약의 물성, 예를 들어 끓는점, 녹는점, 밀도, 분자량 등, 을 적는 항목이 있습니다. 위키피디아를 통해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으나 보통 참고문헌을 넣을 때 위키피디아를 넣지 않도록 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도서관에서 시약의 화학 물성을 쉽게 찾는 책이 있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대학을 입학한 갓 신입생의 경우 잘 모를 수 있는 책인데요. 바로 CRC 핸드북(http://hbcponline.com/faces/contents/ContentsSearch.xhtml)입니다. 보통 도서관에 CRC 핸드북을 검색해보시면 굉장히 두꺼운 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 핸드북을 펼치시면 본인이 찾고자 하는 시약의 물성이 잘 정리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