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도 척도와 환산 캘빈 (K) - “절대온도 척도”로 절대 영도에서 시작하여 양수 범위로 변한다. 섭씨 ( oC) – 과학적 연구에 주로 쓰이며, 세계 여러 나라에 흔히 쓰인다 ; 물이 0 oC에서 얼고, 100oC에서 끓는다. 화씨 ( oF) – 미국의 일기예보에 주로 쓰인다; 물은 32oF에서 얼고, 212oF에서 끓는다. T (in K) = T (in oC) + 273.15 T (in oC) = T (in K) - 273.15 T (in oF) = 9/5 T (in oC) + 32 T (in oC) = [ T (in oF) - 32 ] 5/9
루베는 일본어입니다. 대신 우리말 "입방미터"를 사용하면 된다고 하네요.
반응열 反應熱 (heat of reaction) 1. 반응열 : 화학반응이 일어날때에는 열이 발생되거나 흡수된다. 이때 발생 또는 흡수되는 열량을 반응열이라 한다. 반응열은 반응물질과 생성물질에 저장된 열량이 다르기 때문에 생긴다. 2. 엔탈피 : 어떤 물질이 일정한 압력에서 생성되는 동안에 그 물질속에 저장된 열에너지를 엔탈피라고 하고 기호 H로 표시한다. 엔탈피는 직접측정할 수 없으나 압력이 일정할때 반응열의 출입을 측정함으로 엔탈피의 변화를 계산할 수 있다. △H = 생성물질의 총 엔탈피 - 반응물질의 총 엔탈피 1) 생성물질의 엔탈피가 반응물질의 엔탈피보다 작은경우에는 발열반응이며 △H는 -값을 갖는다. 2) 생성물질의 엔탈피가 반응물질의 엔탈피보다 클경우에는 흡열반응이며 △H는 + 값을 갖는다...
[1] 기체의 일반적 성질 (1) 분자간의 거리가 멀고. 인력이 약함. (2) 빠른 속도로 자유롭게 운동. ※ 분자운동 ; 병진운동, 회전운동, 진동운동. (3) 일정한 모양과 형태가 없다. (4) 압력 ; 기체 분자가 용기의 벽에 충돌해서 생기는 힘. ※ 기체 분자 운동론의 가정 ① 기체 분자는 지속적이고 불규칙한 직선운동 (병진 운동) ② 기체 분자는 완전 탄성체라 가정함. ③ 기체 분자 자체의 부피는 무시함 ④ 분자간의 인력 및 반발력이 없다고 가정 ⑤ 기체분자의 평균 운동에너지는 절대온도에만 비례한다.
* 아보가드로의 법칙 모든 기체는 온도와 압력이 같을 때, 같은 부피 속에 같은 수의 분자를 포함 즉, 일정한 온도와 압력 하에서 기체의 부피는 몰(mol)수에 비례 V = kn(V : 기체의 부피, k : 상수, n : 몰수) * 기체 1몰의 부피(몰 부피) 기체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기체 1몰은 0℃, 1기압(기체의 표준 상태)에서 22.4L의 부피를 가짐 * 기체의 몰수 0℃, 1기압에서 측정한 기체의 부피/몰 부피(22.4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