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1.실험제목 2.실험목적 3.실험이론 4.실험기구및시약 5.실험방법 6.실험결과및자료처리 7.토의 본 문 행복한 캠퍼스 생활 Mr. Word 와 같이 A+ 고고씽! 1. 실험 제목(Title) 질량, 부피, 화합물의 물리적 성질과 그의 확인 2. 실험 목적(Purpose) 화합물의 용해도, 녹는점, 밀도의 측정방법을 알아본다. 3. 실험 이론(Theory) ○ 화합물(Compound) 화합물은 2개 이상의 다른 원소들이 일정 비율로 구성된 순물질을 말한다. 탄소와 수소의 포함여부에 따라 유기화합물과 무기화합물, 원소의 결합방식에 따라 이온화합물과 분자화합물로 나뉜다. 화합물은 유기물과 무기물로 분류할 수 있다. 유기화합물은 탄소와 수소를 포함하는 분자화합물로 메탄, 프로판 등의 연료나 아세톤, 에..
실험식(empirical formula) 실험식은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와 수를 가장 간단한 정수비로 나타낸 식이다. 1. 화합물의 원소 분석을 통하여 성분 원소의 질량 또는 질량의 백분율 (%) 을 구한다 2. 각 성분 원소의 질량, 또는 질량 %를 원질량으로 나누어 원자수의 비를 구한다. 3. 원자수의 비를 간단한 정수비로 나타낸다. 시성식과 구조식 시성식은 물질의 특성을 나타내는 작용기를 , 구조식은 원자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식이다. 분자식 분자식은 분자를 이루고 있는 원자의 종류와 수를 모두 나타낸 식이다. 1. 실험식에서 실험식량을 구한다. 2. 분자량을 구한다. 3.분자량/실험식량 = n 을 구한다. 4 (실험식)n = 분자식 Reference : http://www.ezchem.pe...
화학 실험 레포트를 쓸 때 실험에 사용하는 시약의 물성, 예를 들어 끓는점, 녹는점, 밀도, 분자량 등, 을 적는 항목이 있습니다. 위키피디아를 통해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으나 보통 참고문헌을 넣을 때 위키피디아를 넣지 않도록 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도서관에서 시약의 화학 물성을 쉽게 찾는 책이 있어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대학을 입학한 갓 신입생의 경우 잘 모를 수 있는 책인데요. 바로 CRC 핸드북(http://hbcponline.com/faces/contents/ContentsSearch.xhtml)입니다. 보통 도서관에 CRC 핸드북을 검색해보시면 굉장히 두꺼운 책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그 핸드북을 펼치시면 본인이 찾고자 하는 시약의 물성이 잘 정리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
화합물의 몰 질량을 쉽게 계산을 해주는 사이트입니다. 붉은색 박스 안에 본인이 계산하고자 하는 화합물의 화학식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계산을 해줍니다. 보통은 정확하게 계산해서 나오기는 하는데요. 그래도 모르니 한번은 확인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2022.03.26 - [일반화학] - 웹에서 바로 화학구조식을 그릴수 있는 사이트 (Chemdraw 샘플) 웹에서 바로 화학구조식을 그릴수 있는 사이트 (Chemdraw 샘플) 웹에서 바로 화학 구조식을 그릴 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ChemDraw JS Sample Page 입니다. 사이트 접속하시면 오프라인에서 사용하시는 ChemDraw 프로그램 처러 화학 구조식을 그리실 수 있습니다. C chemdb.tistory.com 이 사이트의 장점은 소괄호 또는 대..
1. Cr2O7-2 일반적으로 산소의 산화수는 -2 로 정한다. Dichromate(Cr2O7 2-)를 따져보면 산소가 7개가 있기 때문에 총 -14 산화수를 가지게된다. 이 사실을 이용해서 -14 + 2x = -2 다음 식을 풀어 x 값을 구하게 되면 크롬의 산화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2x = 12 가 되고, 각각의 크롬의 산화수는 +6이 되는 것이다. dichromate 의 2차원 구조 2. Fe2O3 Iron(III) Oxide 는 ferric oxide, red iron oxide, synthetic maghemite, colcothar(wiki) 라고 불린다. Iron(III) oxide에서 철의 산화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산소(oxygen)의 산화수를 먼저 결정해야한다. 산소의 일반적..
0이 유효숫자인가를 어떻게 판별하는가?* 유효숫자 규칙 → 측정값에 0이 있을 때 문제 (1) 두 숫자들 사이에 있는 0은 유효숫자 ex) 709 (2) 소수점 아래의 오른쪽에 있는 0은 유효숫자 ex) 8.0, 5.700 (3) 첫 번째 숫자의 왼쪽에 있는 0은 유효숫자가 아니다. ex) 0.078, 0.0078, 0.04060 (4) 소수점이 위치할 자리 왼쪽의 0은 유효숫자일 수도 있나? 대부분 유효숫자로 취급하지 않는다. ex) 12000, 6600, 890 참고: http://www1.suwon.ac.kr/~choihs/CHEM(Malone)/measure.htm
위 실험은 에탄올에 페놀프탈레인 용액을 넣고 Sodium 을 넣고 반응 시키는 것입니다. Sodium 이 에탄올과 반응하면서 수소 기체가 발생하고 페놀프탈레인 색이 바뀌는 것을 봤을 때 basic 한 형태 (OH-)가 생긴것으로 보입니다. 2CH3CH2OH + 2Na -> 2CH3CH2ONa + H2 Ethoxide 형태가 Strongly basic 하다고 하네요. (https://www.chemguide.co.uk/organicprops/alcohols/sodium.html)
탄소(Carbon)의 경우 C60 인 플러렌, 흑연 (Graphite), 다이아몬드(Diamond) 등이 동소체로 볼 수 있다. 동소체란?단위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수가 다른 것, 또는 같은 화학조성을 가지지만 원자의 배열상태 ·결합양식이 다른 것을 서로 동소체라 한다. 예를 들면, 산소 O2와 오존 O3는 그 원자수는 다르지만 모두 같은 원소인 산소로 된 동소체이다. 또, 원자의 배열상태 ·결합양식이 다른 것은 흔히 결정(結晶)에서 볼 수 있는데, 예컨대 고무상황 ·단사황(單斜黃) ·사방황(斜方黃) 등은 결정형이 다른 동소체이다. 흰인[白燐]과 붉은인[赤燐], 흑연과 다이아몬드 등도 서로 동소체이다. + 출처 : 네이버 백과사전
일반화학에서 결합(bonding)중 Covalent solids 에 대해서 공부할 때 나오는 내용입니다. Covalent solid는 공유 결합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체이며 공유성-그물구조 고체. (covalent-network solid)라고도 불립니다.원자들이 공유결합에 의해 그물처럼 연결된 결정으로 공유결합으로 연결되어 변형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공유결합이 깨져야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공유성 고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녹는점과 끓는점이 매우 높음2.. hardness 가 굉장히 강함 (stiff and brittle) 이런 고체에서 일반적으로 구조적으로 8-N 룰을 따른다고 합니다. N 이 최외곽전자의 수라고 한다면 coordination number 는 CN 은 8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