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간 과학 인기 뉴스 TOP 10 입니다. (23년 10월 12일, 06시 20분)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국내 연구진이 만든 ‘K-양자컴퓨터’ 나온다
국내 연구진이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식의 큐비트를 개발했다. '국산 양자컴퓨터' 개발로 이어지리란 기대다.

합성 박테리아로 폐플라스틱 유용한 화학물질로 바꾼다
플라스틱을 구성하는 특정 물질을 분해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합성 박테리아들의 분업을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 분해하고 유용한 원료 화학물질로 전환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 연구팀은 27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유전자를 조작한 토양 박테리아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를 사용해 폐 PET를 분해하고 이를 폴리우레탄 등의 원료 물질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플라스틱은 인간이 지구환경에 큰 영향을

밤사이 잘려나갔던 ‘그 나무’, 다시 살아날 가능성이 있다
영국 영화 '로빈후드'에 등장해 세계적인 랜드마크로 자리 잡은 '로빈후드 나무'가 전기톱에 의해 잘려나갔고, 이는 수많은 사람들을 슬프고 분노하게 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전문가들은 이 나무의 강인한 회복력으로 수십 년 후에 다시 자라날 가능성이 있다고 기대하고 있으며, 관리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나이에 따라 다르다?
생애 가장 행복한 나이는 언제일까? 최근 보훔 루르대학교 심리학 연구진은 생애 전반에 걸친 행복감을 주관적 웰빙 지표로 개념화하여 그 추이를 조사한 결과를 미국 심리학회 저널(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인 Psychological Bulletin에 발표했다.

‘반물질도 중력 영향 똑같이 받는다’…반물질 낙하실험 첫 성공
반물질(antimatter)도 일반 물질처럼 중력 영향을 받을까? 국제 연구팀이 반수소(antihydrogen)가 중력에 끌려 자유낙하 하는 실험에 성공,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제시한 중력 효과를 다시 입증했다. 덴마크 아르후스대 제프리 행스트 교수가 이끄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알파(ALPHA) 공동연구팀은 28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에서 반수소 원자를 자기장에 가두는 알파-g(ALPHA-g) 장치 실험을 통해 반수소 원자가 중력에 끌려 자유낙하 하는 현상을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노벨 화학상, 나노 기술에 중요한 토대를 쌓고 ‘씨앗을 심은’ 바웬디, 브루스, 예키모프
노벨 왕립 스웨덴 과학한림원은 2023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크기가 수 나노미터(nm, 10의 -9승 m) 크기에 불과한 초미세 반도체 입자를 뜻하는 양자점을 발견하고 발전시킨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교수 문지 바웬디, 컬럼비아대학교 명예교수 루이스 브루스, 나노크리스털스 테크놀로지 소속 과학자 알렉세이 예키모프 3명을 발표했다.

늘어나는 치매 환자…치료제 개발 어디까지
전 세계 치매 환자 수가 빠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 획기적인 치료제 개발에 국내외 제약사들이 열을 올리고 있다. 7일 알츠하이머 국제기구(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에 따르면 전 세계 치매 환자 수는 2030년 약 7천800만 명, 2050년에는 약 1억3천900만 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치매의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치매 중 가장 많은 유형인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경우 뇌 속

삼엽충의 먹이는?…“4억6천만년 전 화석 내장에서 먹이 확인”
화석으로만 남아 있는 유명한 절지동물 중 하나인 삼엽충은 무엇을 먹고살았을까? 잘 보존된 4억6천500만 년 전 삼엽충 화석을 입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내장 속에서 조개류 등 다양한 먹이가 확인됐다. 스웨덴 웁살라대학 페르 E. 알베리 교수팀은 28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삼엽충(보헤몰리차스 인콜라) 화석을 분석, 내장 속에서 절지류, 히올리스, 조개류 등 해양 생물의 조각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삼엽충은 캄브리아기 초기부터 페름기

차량에 어린아이가 남겨져 있어요
이 인공지능 시스템은 영유아가 보호자 없이 차량에 방치되는 위급한 상황을 파악하고, 특히 어린아이의 경우 위급시에 스스로 빠져나오지 못할 수 있음을 가정하기 때문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지진 예측 가능할까…“1주일 전 예측 정확도 70% AI 개발”
미국 연구팀이 중국에서 7개월간 진행된 지진 예측 실험에서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이용해 지진이 발생하기 1주일 전에 70%의 정확도로 지진을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양캉 천 박사팀은 10일 ‘미국 지진학회 회보'(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에서 과거 지진 데이터로 훈련한 AI 알고리즘이 중국 지진 예측 대회에서 7개월간 70%의 예측 정확도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공동연구자 세르게이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