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전자의 세계로 가는 문을 연 아고스티니, 크라우스, 루이리에
2023년 노벨 물리학상은 원자와 분자 내부 전자 세계를 탐구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과 도구를 고안한 미국 콜럼버스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피에르 아고스티니 (Prof. Pierre Agostini) 교수, 독일 가힝 막스 플랑크 양자 광학 연구소장 페렝크 크라우스 (Prof. Ferenc Krausz) 교수, 그리고 스웨덴 룬드대학교 앤 루이리에 (Anne L’Huillier) 교수 등 물리학자 3명에게 돌아갔다.
오시리스-렉스 탐사선이 소행성 베누에서 채취한 샘플, 지구로 무사히 귀환하다
오시리스-렉스(OSIRIS-REX) 탐사선이 소행성 베누(Bennu)에서 채취한 샘플이 지구에 무사히 귀환했다. 소행성 베누는 탄소가 풍부한 소행성으로 분류되고, 약 40억 년 전 태양계 초기 역사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유기 화합물을 품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과학자들이 해야 할 일
올해는 유엔의 ‘2030 지속가능발전목표(이하 SDGs)’ 이행에 딱 중간 지점이 되는 해다.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의 글로벌 리더들은 이 아젠다 달성을 위해 노력하고 변화하는 세계 정세에 민감하게 대응해왔다. 하지만 지난 8년간의 성적표는 초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발전의 정체를 깨기 위해 과학자들의 책무가 강조되고 있다.
합성 박테리아로 폐플라스틱 유용한 화학물질로 바꾼다
플라스틱을 구성하는 특정 물질을 분해하도록 유전자를 조작한 합성 박테리아들의 분업을 통해 플라스틱 폐기물 분해하고 유용한 원료 화학물질로 전환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어바나-샴페인 일리노이대 연구팀은 27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유전자를 조작한 토양 박테리아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를 사용해 폐 PET를 분해하고 이를 폴리우레탄 등의 원료 물질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플라스틱은 인간이 지구환경에 큰 영향을
국내 연구진이 만든 ‘K-양자컴퓨터’ 나온다
국내 연구진이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식의 큐비트를 개발했다. '국산 양자컴퓨터' 개발로 이어지리란 기대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나이에 따라 다르다?
생애 가장 행복한 나이는 언제일까? 최근 보훔 루르대학교 심리학 연구진은 생애 전반에 걸친 행복감을 주관적 웰빙 지표로 개념화하여 그 추이를 조사한 결과를 미국 심리학회 저널(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인 Psychological Bulletin에 발표했다.
‘반물질도 중력 영향 똑같이 받는다’…반물질 낙하실험 첫 성공
반물질(antimatter)도 일반 물질처럼 중력 영향을 받을까? 국제 연구팀이 반수소(antihydrogen)가 중력에 끌려 자유낙하 하는 실험에 성공,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제시한 중력 효과를 다시 입증했다. 덴마크 아르후스대 제프리 행스트 교수가 이끄는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알파(ALPHA) 공동연구팀은 28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에서 반수소 원자를 자기장에 가두는 알파-g(ALPHA-g) 장치 실험을 통해 반수소 원자가 중력에 끌려 자유낙하 하는 현상을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울산대 “이식 가능한 실제 크기 혈관 3D프린터로 출력”
이식 가능한 실제 크기의 혈관을 3D 바이오프린터로 출력하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개발했다. 4일 울산대학교는 전기공학부 의공학전공 구교인 교수팀이 국내 최초로 해당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울산대에 따르면 구 교수팀은 최근 3D 바이오프린터를 이용해 몸 밖에서 지름 3㎜ 이상의 혈관을 출력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주요 혈관 기능을 시험한 후 동물 체내에 삽입해 염증이 발생하지 않은 사실을
밤사이 잘려나갔던 ‘그 나무’, 다시 살아날 가능성이 있다
영국 영화 '로빈후드'에 등장해 세계적인 랜드마크로 자리 잡은 '로빈후드 나무'가 전기톱에 의해 잘려나갔고, 이는 수많은 사람들을 슬프고 분노하게 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전문가들은 이 나무의 강인한 회복력으로 수십 년 후에 다시 자라날 가능성이 있다고 기대하고 있으며, 관리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다닥다닥 붙은 휴대전화 렌즈 하나면 된다…포스텍 연구팀 개발
최신 휴대전화에는 물체와 거리에 따라 필요한 카메라 렌즈가 여러 개 모여 있다. 휴대전화 특성상 매번 렌즈를 바꿔 끼우기 어려워 여러 개의 렌즈가 필요하다. 렌즈 개수가 많아질수록 카메라 성능은 좋아질 수 있지만 휴대전화 디자인은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포항공대(포스텍)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인공지능대학원 트레본 배드로씨, 기계공학과 통합 과정 성준화씨 연구팀은 이 같은 단점을 없앨 수 있는 메타렌즈를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10월 14일, 06시 20분) (0) | 2023.10.14 |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10월 12일, 06시 21분) (1) | 2023.10.12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10월 10일, 06시 21분) (1) | 2023.10.10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10월 09일, 06시 21분) (0) | 2023.10.09 |
2023년 노벨화학상 수상은? (1) | 202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