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간 과학 인기 뉴스 TOP 10 입니다. (23년 06월 17일, 06시 20분)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췌장암 백신이 나올까?
췌장암이 무서운 이유는 다른 대부분 암은 1기에 발견했을 시 수술 후 생존율이 95~100% 정도이며 항암치료도 필요치 않은반면, 췌장암은 재발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이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거의 없기 때문인데, 최근 새로운 mRNA 백신이 수술 후 종양이 재발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가 보고되었다.

트랜스젠더 여성 선수의 경기 출전 금지 두고 갑론을박
세계육상연맹의 트랜스젠더 여성 경기 출전 결정을 두고 의견이 엇갈린다. 규정을 새로 쓸만한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물리학자들이 알려주는 그네 잘 타는 법
그네를 더 잘 탈 수 있는 물리학적 비법이 공개됐다.

뇌 임플란트 기술, 어디까지 왔나?
뇌 임플란트라니, 듣기에도 생소한 용어이다. 이 기술은 이미 10년 전부터 꾸준한 발전을 보이고 있는 기술이다. 뇌 임플란트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Brain Computer Interface)기술의 한 종류로, 현재는 주로 루게릭병 등 신체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위주로 이들의 의사소통을 좀 더 자유롭게 해주는 역할을 시도 하고 있다.

제임스 웹이 관측할 백색왜성과 외계 행성에 한글 이름이 선정되다
한국의 이지우·김수민·김도연 학생이 함께 천문학을 통해서 환경 문제를 함께 생각해보자는 의미로 제안한 항성 '마루', 외계 행성 '아라'가 외계 행성계 이름으로 선정되었다.

美연구팀 “에너지음료 함유된 타우린, 노화 늦춰”
에너지음료에 주성분으로 함유된 타우린(taurine)이 인간의 노화를 늦춰줄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8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뉴욕 컬럼비아대 연구팀은 이날 과학 저널 '사이언스'에 이러한 내용이 담긴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타우린의 감소가 노화를 재촉하고, 반대로 타우린 증가는 노화를 지연시킨다고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UNIST 연구진, ‘온실가스→고부가가치 요소’ 전환 촉매 개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와 미세먼지 원료인 질산염을 농업과 산업에서 유용하게 쓰이는 요소(Urea)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했다.

“디지털플랫폼정부, 지난 20년간 추진한 전자정부와 다르죠.”
지난 5월 8일, 윤석열 대통령 취임 1주년을 앞두고 「과학과기술」이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를 이끄는 고진 위원장을 서울 종로구 집무실에서 만났다. 작년 9월 출범한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지난 4월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여기저기 흩어진 1,500여 종의 공공서비스를 2026년까지 하나의 인터넷 플랫폼에 통합해 하나의 사용자이름(ID)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내용의 ‘디지털플랫폼정부 실현계획’을 발표했다.

북미 산불, 열돔 갇혀 활활…저기압 강풍 타고 연기 대이동
캐나다 산불이 400여곳에서 타오르고 연기가 미국 북동부를 뒤덮으면서 사태 악화의 불씨가 무엇인지 주목된다. 워싱턴포스트(WP)는 7일(현지시간) 올해 캐나다 산불 일부는 번개로 발화했지만, 확산을 부채질한 건 기후변화가 야기한 '열돔'(heat dome)이었다고 보도했다. 이번 산불은 고온의 공기 덩어리가 고압의 대기층 아래 갇혀 열기를 뚜껑처럼 가두는 현상을 뜻하는 열돔 아래에서 처음 발생했다.

제임스웹 망원경 관측 예정 외계행성 이름에 ‘마루·아라’ 선정
한국천문연구원은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관측할 항성 'WD 0806-661'과 외계행성 'WD 0806-661 b'의 이름으로 한국이 제안한 마루(Maru)·아라(Ahra)가 선정됐다고 8일 밝혔다. 국제천문연맹(IAU)이 지난해 10일 진행한 '외계행성 이름 짓기 공모전' 결과를 이날 오전 0시 발표했다. 제안자인 이지우·김수민·김도연(17·동덕여고) 양은 "항성과 외계행성 이름으로 하늘이 연상되는 단어인 마루와 바다가 연상되는 단어인 아라로 지었다"며 "천문학을 통해 환경 문제를 함께 생각해보고 싶어 제안했다"고 말했다.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