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연구재단에서 발표한 자료를 참고해서 성과 분석 지표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연구자들이 연구를 하고 그 결과를 논문등으로 발표를 하게 됩니다. 일년에도 정말 많은 수의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는데요. 

발표된 논문들에 대해서 연구자들이 만들어내는 성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다양한 지표들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1. 피인용횟수(citation): 즉 자신의 발표 논문이 다른 사람의 논문에 의해 인용된 횟수를 의미하고, 이는 자기 인용(self-citation)을 포함합니다. (참고 글 ▶논문, 피인용횟수 검색 방법(SCI, 스코퍼스, Scopus)


2. 저널영향력지수(Impact Factor; IF): 해당년도를 제외한 최근 2년간 학술지 수록 논문의 평균 피인용 횟수를 의미합니다. 주로 학술지 평가를 위한 지표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 저널의 '07년의 IF 는 '05-'06 년 'A'에 게재된 논문의 '07년 인용 횟수/ ('05-'06년 "A"에 게재된 논문의 총수) 


3. 분야대비영향력지수 (Relative Field Impact Factor, rfIF): 각 저널의 영향력지수(IF, impact factor)를 각 저널이 속한 분야의 평균 영향력 지수로 나눈 값이며, 분야 대비 영향력지수가 1.0이상이면 발표 저널이 해당분야 평균 수준(IF 기준) 이상 임을 의미 합니다. 


4. 표준화된순위보정영향력지수 (Modified Rank Normalized Impact Factor, mrnIF): 순위보정지수의 최소값을 0, 최대값을 100으로 표준화한 것으로서 지수 값이 큰 저널일수록 해당분야 내에서 위상이 높은 저널입니다. 


<순위 보정 지수 (Rank Normalized Impact Factor, rnIF)의 개념)>

- 순위보정지수는 분야 내 특정 학술지가 차지하는 위상을 나타냄

- 순위보정지수=(K-Rj+1)K 

- Rj: 해당 저널의 분야 내 IF순위, K: 분야 내 저널 수

- 상기 공식에 따르면 특정 학술지가 분야 내 최상위인 경우는 순위 보정지수가 "1"의 값을 갖고 최하위인 경우는 0에 가까운 값을 갖게됨

- 가령 "A" 저널의 순위 보정지수가 0.75란 의미는 25% 학술지가 A보다 상위에 있음을 의미함


5. 보완된순위보정지수 (Ordinal Rank Normalized Impact Factor, ornIF): 표준화된 순위보정지수에 근거하여 모든 저널이 1-5사이값을 갖도록 변형한 것. 



참고 자료

주요 저널에 게재된 한국인 연구자 논문 현황 분석

▶ 130708 NRF 정책세미나 발표자료(배포용)


관련글

▶ 표준화된순위보정영향력지수(mrnIF) 계산 방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