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피인용 지수 혹은 임팩트 팩터(impact factor)는 자연과학·사회과학 분야의 학술 잡지를 대상으로 삼고, 그 잡지의 영향도를 재는 지표입니다. 구체적인 계산 방법은 다음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피인용지수란?)

 

 

유진 가필드(Eugene Garfield)가 1955년에 고안한 것으로, 현재는 매년 톰슨·사이언티픽(Thomson Scientific, 구 ISI)의 인용 문헌 데이터베이스 Web of Science에 수록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출하고 있다. 대상이 되는 잡지는 자연과학 5,900지, 사회과학 1,700지다. 그 수치는 Journal Citation Reports(JCR)의 데이터의 하나로서 수록된다.

 

자신이 발표한 논문의 인용 횟수를 알수 있는 방법은 다양한데요. 연구 과제 작성할 때 요구하는 인용 횟수의 자료는 SCI 와 SCOPUS 의 것을 요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 같습니다. 두 곳 소스 말고도 자신이 논문을 발표한 저널 홈페이지에서 본인의 논문을 검색할 경우에도 몇 번의 인용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으나, 정확하지 않은 경우들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구글 스칼라에서도 확인이 가능하기는 하나, 학회 발표 등도 인용 횟수로 포함시키는 경우가 있어서 인용 횟수가 좀 더 크게 나온다고 하네요. 참고해서 사용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보통 SCI 논문의 인용 횟수의 경우 Web of Science 와 JCR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Web of Scince 바로가기 

 

<그림1. Web of Science 홈페이지>

 

그림1 은 Web of Science 홈페이지의 캡쳐화면 입니다. (▶ Web of Scince 바로가기 ) 를 통해서 웹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면 뒤 화면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찾아야 하는 인용 횟수가 많은 경우에는 논문 제목으로 검색하고, 찾은 논문 중에 저자를 클릭해서 그 저자에 관한 논문 정보를 얻은 후에 인용 횟수를 찾는게 빠른 것 같습니다. 빠르고 정확한 방법은 한번 찾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JCR(Journal Citation Reports) 바로가기

 

<그림2. JCR 캡쳐화면>

 

JCR의 경우 Journal Citation Reports 의 약자로 (▶ JCR(Journal Citation Reports) 바로가기) 에 접속하면 그림 2와 같은 화면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과학과 공학이라면 JCR Science Edition 을 선택하시고, Select an option 에서 Category 로 선택해서 검색하시면 좀 더 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JCR 의 경우 본인이 투고한 논문의 위치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자주 사용됩니다. 

 

앞서 설명드린 두 웹사이트이외에 스코퍼스(Scopus)라는 피인용지수 및 인용 횟수를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 베이스가 있습니다. 

 

 

스코퍼스(Scopus)는 네덜란드의 엘스비어 출판사가 2004년에 만든 전 세계의 우수 학술논문 인용지수이다. 한국에서 보통 ‘SCI 논문’이라고 할 때 스코퍼스 논문도 포함해서 지칭한다.1960년에 만든 SCI 보다 최근에 만들어졌다.

SCI 보다는 늦게 만들어졌지만, 오히려 스코퍼스를 좀 더 신뢰도 있게 보는 그룹 들도 있는 것 같습니다. 앞서 설명 했지만 최근에는 SCI와 스코퍼스 두곳 모두의 인용횟수를 기록해서 내라고 하는 경우들도 생기고 있어 연구자 입장에서는 좀 더 복잡해진 감도 있는 것 같습니다.

 

스코퍼스의 경우 앞서 설명드린 Web of Science 보다는 접근하는데 제약이 있는 것 같습니다. 본인이 학교에 속해있는 분이라면 학교 도서관 전자 정보 관련 부서에 스코퍼스를 학교 IP를 통해서 접속하면 사용이 가능한지를 확인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제가 속한 학교 같은 경우에도 오후 4시부터 다음날 아침 9시까지만 이용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with linkprice>>

 

 

 

스코퍼스 바로가기 

 

<그림 3. RISS 를 통합 스코퍼스 접속>

 

제가 속한 학교의 경우는 도서관을 통해 스코퍼스에 접속하는 방법은 RISS 를 통해서 해외 DB 검색을 하는 방법이었습니다. (학교 마다 차이가 있을 것 같음) 그림 3은 도서관 홈페이지를 통해서 접속한 화면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통합검색 DB 를 클릭하고 SCOPUS (스코퍼스)  를 클릭하고 본인이 찾고자 하는 논문의 제목을 입력후 검색을 하게 되면 그 논문이 화면에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4. 스코퍼스 검색 결과 화면>

 

그림4는 논문 검색 후, 인용횟수 검색을 한 결과를 나타내는 캡쳐화면으로 그림 3에서 본인이 원하는 논문을 검색하면 SCOUPS 인용횟수 검색이라는 문구가 있는 그 문구를 클릭하면 그림 4와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른편에 인용횟수와 논문 제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7.03.23 - [논문] - JCR 업데이트로 표준화된순위보정영향력지수(mrnIF) 훨씬 쉽게 계산 가능!

 

JCR 업데이트로 표준화된순위보정영향력지수(mrnIF) 훨씬 쉽게 계산 가능!

이전에 표준화된순위보정영향력지수(mrnIF) 계산 방법 이라는 글을 쓰면서 JCR에서 각 변수들을 찾는 방법들을 소개해드렸습니다. 요즘 과제 계획서 마감 기간이다보니 저도 표준화된순위보정

chemdb.tistory.com

2021.10.17 - [논문] -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 목록 확인하기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