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해외에서는 NO, 우리나라에선 YES…중국의 이상한 석탄 정책
중국 정부는 해외 석탄 발전 퇴출을 발표하는 동시에 자국 내 석탄 발전소에 대한 접근 방식은 바꾸지 않고 있다. 중국의 이런 이분법적인 정책이 만들어진 배경은 무엇일까.
태양계에 또 다른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 (1)
한적한 시골 마을이나 빛 공해가 없는 장소에서 밤하늘을 바라보다 보면 금세라도 별이 쏟아질 것 같은 기분이 든다. 우리가 관측 가능한 우주에는 자그마치 600해(1경 * 10,000)개 이상의 별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전 세계 모든 해변과 사막에 있는 모래 알갱이의 수보다 최소 몇 배는 많은 숫자이다.
원소가 부른 음악 들어보실래요?
우리는 원소를 눈으로 보고 맛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원소의 소리는 들을 수 없었다. 원소의 소리를 들려주는 기술이 개발됐다. 금색, 은색, 구리색 등 우리는 원소의 색을 눈으로 본다. 소금(NaCl‧염화소듐) 맛처럼 혀끝으로 원소의 맛도 느낄 수 있다. 그렇다면 귀로 원소의 소리를 들을 수는 없을까. 화학자이자 음악가인 워커 스미스 미국 인디애나대 연구원은 원소의 특징을 고유한 소리로 형상화하고, 음악 주기율표를 완성해 2023년 3월 26일 열린 미국화학회(ACS) 봄 학술대회에서 발표했다.
태양계에 또 다른 생명체가 살고 있을까? (2)
현재까지는 우리 태양계 내에서 지구에서만 물이 직접적으로 발견되었다. 하지만 다른 천체들에서도 물이 존재한다는 과학적인 증거들이 발견되었다.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등의 대기에 많은 물이 존재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지만, 위 행성들은 질량 대부분이 가스나 유체가 차지하고 있는 가스행성이다.
과학으로 연결되는 미래, 2023 대한민국 과학축제
‘대한민국 과학축제’는 우리나라의 대표 과학축제 브랜드이다. 대한민국 대표 과학기술을 알릴 수 있는 다양한 행사 기획을 통해, 세계적 과학축제로의 도약함을 목표로 '전국으로 과학・교육 체험의 장을 확산'시키려는 국정과제의 이행을 바탕으로 꾸려지는 행사이다.
제임스 웹, 충돌하는 나선 은하의 모습을 자세히 관측하다
초발광적외선은하(ULIRG: Ultra Luminous InfraRed Galaxy - 태양보다 10의 12승 이상 밝은 적외선 은하를 나타냄)인 Arp 220은 지구로부터 약 2억 5천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해있다. 위 은하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초발광적외선은하로, Halton Arp의 독특한 은하 아틀라스 카탈로그의 220번째 천체이기에 Arp 220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곤충겹눈 모방 반도체’로 인간 시신경 한계 극복한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슈퍼비전 AI(인공지능)를 위한 겹눈 모방 뉴로모픽(neuromorphic:신경 구조와 유사한) 반도체'를 주제로 하는 연구과제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18일 밝혔다. 기존 인간 시신경의 한계 등을 극복하기 위해 곤충의 원초적인 시신경망을 모방함으로써 저전력과 고연산 능력을 갖춘 뉴로모픽 반도체를 설계·개발하는 사업이다.
반세기 동안 생물분류 거부해온 ‘툴리 몬스터’는 무척추동물
약 3억년 전 바다에 살던 생명체 중에는 평균길이 15㎝의 '툴리 몬스터'(Tullimonstrum gregarium)라는 기괴한 모습을 한 생물도 있다. 미국의 아마추어 고고학자 프란시스 툴리가 1958년 일리노이주의 화석 보고인 '메이존 크리크'에서 처음 발견했지만, 안테나처럼 달린 눈과 촉수처럼 나온 길쭉한 입 등은 생물 분류학상 어디에도 속한다고 할 수 없어 반세기 이상 수수께끼의 동물이 돼왔다.
자유로운 형상에 신축성까지…신개념 3D프린팅 전도체 잉크 개발
마요네즈처럼 짜낼 때 모양을 유지하는 성질을 지닌 전도성 잉크로 자유로운 3차원(3D) 형태를 만들 수 있는 프린팅 기술이 개발됐다. 기존 소재보다 탄성과 전도성을 모두 높여 웨어러블 기기에 필요한 유연소자 상용화 가능성을 높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과학교구 ‘득템’하면 과학 개념·원리도 쉽고 재밌게…
직접 조립하고, 체험하는 과학교구의 인기가 높다. 최근 국립과천과학관이 과학교구 제조 기업과 함께 ‘제트엔진 스피터’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과학관 전시품으로는 최첨단 과학기술의 호기심을 충족하는 데 한계가 있고, 배우는 과학에서 즐기는 과학으로의 인식전환이 과학교구 산업을 견인하고 있다.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4월 27일, 06시 21분) (0) | 2023.04.27 |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4월 25일, 06시 21분) (0) | 2023.04.25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4월 23일, 06시 21분) (1) | 2023.04.23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4월 22일, 06시 20분) (0) | 2023.04.22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4월 20일, 06시 20분) (0) | 2023.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