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WHO, “M두창(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다시 전 세계로 퍼질 수 있다”
WHO는 2023년 5월 지난 1년간 약 9만 명이 M두창에 감염되고 140명이 사망하자, 국제적 보건 비상사태로 격상했다. 이는 공중 보건에 대한 인식이 최고조에 달했던 코로나19 팬데믹 3년 차에 급속도로 확산되었기에 전 세계에 공포를 주기에 충분했다. 당시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Tedros Adhanom Ghebreyesus) WHO소장은 M두창이 강력하고 빠르게 확산되고 있기에 이로 인해서 중대한 공중 보건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지속 가능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리고 2023년 12월 현재, 그의 말이 맞았음이 증명되고 있다. 12월 중순, WHO는 다시 M두창 경보를 울렸기 때문이다.
상상 속의 동물, ‘청룡’의 모습?
2024년 '푸른 용'의 해가 밝았다. 용은 동양 문화권의 십이지지(十二地支) 중 유일하게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상상의 동물이지만, 실제로 용의 기원과 실제 존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임신 21~24주의 당신과 아기,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임신의 과학' 시리즈에서는 임신 주차별 산모와 태아가 겪는 변화를 살펴본다. 임신 17~20주차를 다루었던 지난 5화에 이어 이번화에서는 임신 21~24주차를 살펴보고자 한다.
인도의 달 남극 탐사선 착륙 성공부터 베누 소행성의 샘플을 얻기까지, 2023년 우주 탐사 주요 성과는?
인류는 우주 탐사를 끊임없이 발전시키며 진행하고 있다. 2021년 크리스마스에 지구를 떠나 우주로 여행을 시작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덕분에 2022년 우주 덕후는 매우 행복했을 것이다. 과연 2023년에는 어떠한 우주 탐사가 우리의 눈은 매우 즐겁게 해주었을까?
탯줄 유래 동종 골모세포를 이용한 대퇴골두 골괴사 세포치료제 개발 현황
작년 한 해 국민 건강보험이 적용되었던 질병 중 1/3이 근골격계 질환이었습니다. 현재 건강검진은 주로 암, 심혈관, 소화기 질환에 중점을 두고 있어 근골격계 질환은 미비한 편입니다. 이런 이유로 예방이 어려워 매년 이 질환으로 인한 환자 수는 늘어가고 있습니다. 따라서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예방과 치료는 중요하며, 이를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아토과학 분야의 국제 경쟁력
한국물리학회의 「물리학과 첨단기술」 2023년 12월 32권 12호에 게재된 '과학의 창'을 소개한다.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4년 01월 10일, 06시 20분) (1) | 2024.01.10 |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4년 01월 09일, 06시 20분) (1) | 2024.01.09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4년 01월 05일, 06시 21분) (1) | 2024.01.05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4년 01월 04일, 06시 20분) (1) | 2024.01.04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4년 01월 03일, 06시 21분) (2) | 202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