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간 과학 인기 뉴스 TOP 10 입니다. (24년 01월 03일, 06시 20분)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예쁜꼬마선충 뇌의 ‘와이파이 지도’ 나왔다
기다란 선 없이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무선인터넷처럼, 물리적 연결 없이 신호를 주고받는 신경의 무선 네트워크가 밝혀졌다.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RC) 분자생물학 연구소 연구진은 예쁜꼬마선충에서 신경세포 간 무선 통신 연결 지도를 완성했다고 지난 11월 국제학술지 ‘뉴런(Neuron)’에 발표했다. 다양한 신경정신 질환의 메커니즘 규명에 한 발 더 다가설 것으로 기대된다.

WHO, “M두창(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다시 전 세계로 퍼질 수 있다”
WHO는 2023년 5월 지난 1년간 약 9만 명이 M두창에 감염되고 140명이 사망하자,  국제적 보건 비상사태로 격상했다. 이는 공중 보건에 대한 인식이 최고조에 달했던 코로나19 팬데믹 3년 차에 급속도로 확산되었기에 전 세계에 공포를 주기에 충분했다. 당시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 (Tedros Adhanom Ghebreyesus) WHO소장은 M두창이 강력하고 빠르게 확산되고 있기에 이로 인해서 중대한 공중 보건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지속 가능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리고 2023년 12월 현재, 그의 말이 맞았음이 증명되고 있다. 12월 중순, WHO는 다시 M두창 경보를 울렸기 때문이다.

2023년 ‘디지털 라이프’를 점검하다
본격적으로 디지털이 일상생활 영역에 도입된 지 10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디지털 라이프는 ‘It’s my life’가 된 분위기다. 불가피한 비대면 상황을 보완하기 위해서라기보다 네트워크+디지털 기기+콘텐츠가 하나로 결합된 생활 양식이 자리 잡은 이유다. 디지털 마케팅사 메조미디어가 발행한 2023년 디지털 라이프 보고서에 따르면 “연령, 성별에 무관하게 대다수의 사람들이 하루 4시간 이상 ‘온라인’에서 활동한다.” 실제로 소통, 소비, 취미·여가 등 다양한 일상이 온라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2023년 우리의 디지털 라이프를 점검해보자.

2024년, “모두의 생성 AI, 모든 곳에 생성 AI” 전망
“2023년은 생성 AI가 모든 전략적 논의에 중심에 있었고, 2024년에는 모든 주제에 침투할 것.” 가트너의 발표에 따르면 2024년에는 AI가 모든 것에 스며들어 대중화되고, 이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개발과 지능형 애플리케이션, 업무 최적화 모델 기술 등이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사이언스 뉴스’ 가 선정한 2023년 가장 인기 있는 과학뉴스는?
세계적인 과학뉴스지 ‘사이언스 뉴스(ScienceNews)’가 21일(현지시간)에 ‘2023년 가장 있기 있는 과학뉴스’를 선정해 발표했다. 뉴스 편집자에 따르면 올해 약 2,100만 명이 웹사이트를 방문했고, 그중 가장 많이 읽히고, 많이 본 5대 기사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당신의 AI 연구실 동료, ‘코사이언티스트’
‘노벨상급’ 연구자가 개발한 화학 반응을 단 4분 만에 만들어내는 AI가 개발됐다. 미국 카네기멜론대 등 공동 연구진은 스스로 전문 자료를 학습하여 화학 실험 계획을 세우고, 로봇에게 실험을 지시하는 인공지능(AI) 화학자 ‘코사이언티스트(Coscientist)’를 개발하고, 그 성과를 21일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를 통해 알렸다.

2024년도 다이어트 계획이 있다면 챗봇과 함께?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챗봇이 일상생활의 사소한 습관을 개선하는 데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대학 연구진이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챗봇의 효과를 메타분석한 결과가 네이처 디지털 메디슨 지에 실렸다. 연구진은 “최근 챗봇은 실제 사람과 대화하고 있는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발전했다.”면서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지원하는 데 효과적인 도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누리 1주년 기념 성과전
26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외국인 관람객이 '다누리의 스펙타클 365전'을 관람하고 있다.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