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예쁜꼬마선충 뇌의 ‘와이파이 지도’ 나왔다
기다란 선 없이도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무선인터넷처럼, 물리적 연결 없이 신호를 주고받는 신경의 무선 네트워크가 밝혀졌다. 영국 의학연구위원회(MRC) 분자생물학 연구소 연구진은 예쁜꼬마선충에서 신경세포 간 무선 통신 연결 지도를 완성했다고 지난 11월 국제학술지 ‘뉴런(Neuron)’에 발표했다. 다양한 신경정신 질환의 메커니즘 규명에 한 발 더 다가설 것으로 기대된다.
2024년에 주목할 과학 이벤트
과학계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는 19일(한국 시간) 2024년 주목해야 할 과학계 이벤트 9가지를 뽑아 발표했다. 올해 전 세계를 떠들썩하게 한 챗GPT 보다 성능이 대폭 높은 GPT-5 공개, 다양한 지상 망원경의 활동 시작, 불임 모기를 통한 질병 타개 전략 등이 이름을 올렸다.
안녕하‘소’? 나, 똑똑한 ‘소’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382호(12월 7일 발행) 표지에 ‘호기심’이라는 표제어와 실제로 궁금한 표정을 지은 소의 얼굴이 실렸다. 해당 기사 “농장 동물들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를 제목으로 염소, 돼지 및 기타 가축의 생각과 마음이 사람이 생각한 것보다 더 복잡하다는 연구결과를 소개했다.
‘푸바오’가 유튜브 스타가 된 이유
용인 에버랜드의 자이언트판다 ‘푸바오’는 올해 최고의 SNS 스타다. 푸바오는 2020년 자연 번식으로 태어난 국내 1호 아기 판다다. 할아버지인 강철원 사육사에게 팔짱을 끼고 사랑스럽게 몸을 기대는가 하면, 육중한 몸으로 구르며 노는 모습이 웃음을 자아낸다. 지난 7월에 태어난 푸바오의 쌍둥이 여동생들도 명실상부 인플루언서가 됐다. 푸바오가 언니가 됐다는 소식에 판다 가족을 향한 관심은 식을 기미가 없다. 최근 판다 가족이 인플루언서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가 밝혀졌다. 미국 연구진은 판다가 야생에서 나무를 일종의 SNS로 활용해 소통한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 20일 국제학술지 ‘우르수스(Ursus)’에 발표했다.
인공생명체 개발, 끝이 보인다
미국, 중국, 프랑스, 영국 등 200여 명으로 구성된 ‘효모 합성유전체 프로젝트(Sc2.0·Synthetic Yeast Genome Project)’ 국제 공동 연구진이 16년 만에 효모의 게놈(유전체) 전체를 인공적으로 합성하고, 50% 이상이 인공유전체인 인공효모를 합성했다. Sc2.0은 지난 11월 이 연구 결과를 ‘셀(Cell)’과 ‘몰레큘러 셀(Molecular Cell)’ 등 저명 국제학술지에 10여 편의 논문을 통해 공개했다. 효모의 전체 유전자를 조작하여 약물, 연료 등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시대가 머지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글로벌 디지털콘텐츠 기술, ‘XR’ 급성장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급성장한 디지털콘텐츠 시장은 2023년에도 그 추세가 이어졌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국내외 동향 분석 보고서를 토대로 2023년 디지털콘텐츠 시장과 관련 기술 동향을 점검하고자 한다.
2023년 ‘디지털 라이프’를 점검하다
본격적으로 디지털이 일상생활 영역에 도입된 지 10년이 채 되지 않았지만, 디지털 라이프는 ‘It’s my life’가 된 분위기다. 불가피한 비대면 상황을 보완하기 위해서라기보다 네트워크+디지털 기기+콘텐츠가 하나로 결합된 생활 양식이 자리 잡은 이유다. 디지털 마케팅사 메조미디어가 발행한 2023년 디지털 라이프 보고서에 따르면 “연령, 성별에 무관하게 대다수의 사람들이 하루 4시간 이상 ‘온라인’에서 활동한다.” 실제로 소통, 소비, 취미·여가 등 다양한 일상이 온라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데, 2023년 우리의 디지털 라이프를 점검해보자.
2024년, “모두의 생성 AI, 모든 곳에 생성 AI” 전망
“2023년은 생성 AI가 모든 전략적 논의에 중심에 있었고, 2024년에는 모든 주제에 침투할 것.” 가트너의 발표에 따르면 2024년에는 AI가 모든 것에 스며들어 대중화되고, 이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개발과 지능형 애플리케이션, 업무 최적화 모델 기술 등이 주목받을 것으로 보인다.
다누리 1주년 기념 성과전
26일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외국인 관람객이 '다누리의 스펙타클 365전'을 관람하고 있다.
당신의 AI 연구실 동료, ‘코사이언티스트’
‘노벨상급’ 연구자가 개발한 화학 반응을 단 4분 만에 만들어내는 AI가 개발됐다. 미국 카네기멜론대 등 공동 연구진은 스스로 전문 자료를 학습하여 화학 실험 계획을 세우고, 로봇에게 실험을 지시하는 인공지능(AI) 화학자 ‘코사이언티스트(Coscientist)’를 개발하고, 그 성과를 21일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를 통해 알렸다.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4년 01월 02일, 06시 21분) (0) | 2024.01.02 |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4년 01월 01일, 06시 21분) (2) | 2024.01.01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12월 30일, 06시 20분) (2) | 2023.12.30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12월 29일, 06시 21분) (2) | 2023.12.29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12월 28일, 06시 49분) (1) | 2023.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