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비만’의 오래된 기원, 1930년대에도?
현대인의 고질병으로 불리는 비만은 언제부터 생겨났을까. 최근 비만(BMI 30 이상)의 징후가 1930년대에 이미 발생했다는 연구 결과가 사이언스지(Science)에 발표됐다. 이 시기는 서구 국가에서 비만 유병률 증가를 추적·측정하기 시작한 1970년대보다 훨씬 이른 것이다.
찰나의 빛으로 전자 세계의 창 열다…노벨 물리학상 3인 수상
2023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원자 내부에 있는 전자의 움직임을 잡아낼 정도로 파장이 짧은 ‘찰나의 빛’을 만들어내는 새 실험방법을 고안해 낸 과학자 트리오인 피에르 아고스티니(70), 페렌츠 크러우스(61), 안 륄리에(여·65)가 선정됐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3일(현지시간) ‘물질의 전자역학 연구를 위한 아토초(100경분의 1초) 펄스광을 생성하는 실험 방법’과 관련한 공로로 이들에게 노벨 물리학상을 수여한다고 밝혔다. 륄리에는 역대 다섯 번째이자, 2020년
이제는 비행도 환경을 생각해야 할 때
유럽 의회가 2050년까지 항공 연료의 70%를 그린에너지로 대체하기로 결정하였다. 반면, 한국에서는 규제 및 투자 부족으로 인해 SAF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노벨 생리·의학상, mRNA 코로나 백신을 만드는 데 큰 기여를 한 카탈린 카피코 그리고 드루 와이스먼
어느덧 10월, 노벨상 시즌이 다가왔다. 10월 2일 스웨덴 스톡홀름 카롤린스카 연구소(Karolinska Institutet) 노벨위원회(Nobel Assembly)는 "코로나19에 대한 효과적인 mRNA 백신 개발을 가능하게 한 뉴클레오시드 염기 변형에 관한 발견”을 공로로 카탈린 카리코(Katalin Karikó) 독일 비온텍(BioNTech) 부사장과 드루 와이스먼 (Prof. Drew Weissman) 미국 펜실베이니아 의대 교수를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했음을 알렸다.
‘이불 킥’ 만드는 생각의 흐름…우울 치료 단서 될까
사람들은 가만히 있다가도 갑자기 자신이 과거에 했던 부끄러운 행동 같은 흑역사가 떠오르면서 ‘이불 킥’을 하곤 한다. 뇌과학계에서는 이런 부정적인 생각이나 감정을 되새기는 걸 소의 되새김질에 빗대 ‘반추’라고 한다. 반추는 어떤 생각이나 감정에 매몰돼 이를 반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런 반추는 주로 뇌의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 영역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디폴트 모드는 사람이 휴식 상태에서
UNIST “소리·빛 동시에 내는 신축성 디스플레이 제작기술 개발”
피부처럼 늘어나면서 소리와 빛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제작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27일 UNIST는 신소재공학과 최문기 교수팀이 스탬프 표면 제어로 스트레처블 발광층의 고해상도 패터닝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로 만든 스트레처블 발광 소자는 신축성을 지니면서 빛과 소리도 발생시킨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시각과 청각을 이용해 방화벽을 해제할 수 있는 ‘시·청각 이중 암호화 소자’도 선보였다. 패터닝이란
KAIST, 인공지능으로 조현병 원인치료 실마리 찾았다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그동안 증상 억제만 가능했던 조현병 원인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바이오및뇌공학과 이도헌 교수·한국한의학연구원 공동연구팀이 미국 스탠리 의과학연구소와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인공지능으로 개인 유전형과 조현병 사이 선천적 병리 모델과 조현병 예측 마커(지표)를 발굴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도헌 교수 연구팀은 스탠리연구소의 다수준 뇌 조직 데이터에 최근 주목받는 AI 기술인 ‘설명 가능한 심층학습’ 기술을
전자 움직임 포착 초고속 ‘플래시’…반도체·의료 활용 기대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피에르 아고스티니, 페렌츠 크러우스, 안 륄리에는 원자와 분자 속 전자의 움직임을 볼 수 있는 ‘아토초 과학’이라는 새 영역을 열었단 평가를 받는다. 100경분의 1초를 뜻하는 아토초는 분자 속 전자가 움직이는 시간 수준으로 그야말로 찰나의 순간이다. 우리가 빠르다고 느끼는 컴퓨터나 스마트폰 같은 전자장비도 아토초의 10억 배인 나노초(10억분의 1초) 단위로 신호 처리를 한다.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수학회] KMS Special Conference with 2022 Fields Medalists 개최 안내 (0) | 2023.10.06 |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10월 06일, 06시 21분) (1) | 2023.10.06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9월 24일, 06시 21분) (0) | 2023.09.24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9월 23일, 06시 20분) (0) | 2023.09.23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9월 20일, 06시 21분) (0) | 2023.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