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오네스부터 LK-99까지, 112년의 초전도체 역사
LK-99 논란이 시작된지 2달만에 종결이 보인다. 초전도체가 걸어온 110여 년의 역사를 짚어봤다.
자연의 ‘다섯 번째 힘’, 실마리 찾았다
표준모형의 한계를 보여주는 더 강력한 증거가 나왔다. 2025년 표준 모형이 설명하지 못하는 '제5의 힘'이 있는지 여부가 최종적으로 밝혀진다.
[우크라 침공]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남극 과학을 망치고 있다
우크라이나에서 벌어지고 있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침공 전쟁은 최전선에서 수천 킬로미터 이상 떨어진 남극 과학으로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공식적으로 비무장지대인 남극이 국제적인 분쟁과 전쟁으로 인해서 어떻게 타격을 받고 있는 것일까?
고대 생물의 DNA가 담긴 타임캡슐 발견하다
옥스퍼드대학교 생물학·고고학·디지털복원학 연구진으로 구성된 다학제 연구팀은 2천9백 년 전 점토에서 고대 DNA를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고 ‘사이언스 리포트’에 발표했다. 그 결과 34개의 식물 분류군이 식별됐으며, 가장 많은 식물군은 유채과(양베추)와 진달래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자작나무, 월계수, 셀리눔, 밀과의 식물 DNA가 포함돼 있었다. 연구진은 점토 안에서 잠자고 있던 DNA가 지역과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 및 생물 다양성의 ‘타임캡슐’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우리의 뇌는 어떻게 좋고 나쁨을 판단할 수 있을까?
감정은 편도체에 의해 처리된다. 뇌의 한 부분인 편도체는 주로 '감정'을 처리하는 중추로서, 종에 상관없이 계속적으로 보존되어왔다. 종에 상관없이 보존되었다는 것은 인간이 아닌 다른 동물들도 모두 감정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까? 그렇다면 로봇도 감정을 느낄 수 있을까?
파킨슨병 새 방아쇠 찾았다…“신경세포 시냅스 장애가 출발점”
도파민을 합성, 분비하는 도파민 작동성 신경세포(뉴런) 퇴화가 파킨슨병의 시작이라는 통념과 달리 이보다 일찍 진행되는 뉴런 시냅스(신경접합부) 기능 장애가 파킨슨병의 출발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디미트리 크라인크 교수팀은 16일 과학저널 ‘뉴런'(Neuron)에서 신경세포가 죽기 전 도파민성 시냅스가 기능 장애를 일으키고 이 장애가 도파민 결핍으로 이어져 파킨슨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크라인크 교수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뉴런이
생성AI와 문화산업, 협업과 상생의 길로 들어섰다
경기콘텐츠진흥원이 개최한 ‘2023 문화기술 콘퍼런스’의 이틀째 날, 특별세션과 전문세션에 선 연사들은 생성AI와 문화산업, 협업과 상생의 길로 들어섰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다만 성AI라는 혁신 기술의 디렉터는 사람의 창의력이라고 강조했다.
미토콘드리아 DNA가 모계로만 유전되는 이유 찾았다
인체 세포에 있는 DNA는 모두 부모로부터 절반씩 물려받지만 세포 내 에너지 공장인 미토콘드리아의 DNA(mtDNA)는 어머니로부터만 물려받는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미토콘드리아 DNA가 모계유전 되는 것은 성숙한 정자에 온전한 mtDNA가 거의 없어 부계 mtDNA가 수정란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OHSU)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박사와 토머스제퍼슨대 드미트리 테미아코프 박사팀은 19일 과학저널 ‘네이처 유전학'(Nature Genetics)에서 성숙한 정자에
영국, EU 과학 연구 프로그램 호라이즌 유럽에 복귀하다
2020년 브렉시트는 영국이 유럽연합에서 탈퇴하는 것과 더불어 범유럽 차원의 연구·개발 발전을 위한 프로그램 '호라이즌(Horizon)'에서 탈퇴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로 인해 영국 과학계는 큰 충격을 받았지만, 최근 영국과 유럽연합은 새롭게 협정을 체결하였고, 그 결과 영국이 다시 '호라이즌 유럽(Horizon Europe)'에 합류하게되었다. 이로써 영국은 추후 글로벌 과학 및 연구의 최전선에 설 것임을 공표했다.
세상에서 가장 큰 꽃 ‘시체꽃’ 멸종위기…“서식지 67% 파괴위험”
지름이 약 1m로 세상에서 가장 크고 고기 썩는 냄새로 ‘시체꽃’으로도 불리는 동남아시아의 ‘라플레시아'(Rafflesia) 종 대부분이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옥스퍼드대 식물원 크리스 소로굿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20일 과학저널 ‘식물 인간 지구'(Plants People Planet)에서 라플레시아 속 42종의 개체수와 서식지를 조사한 결과 대부분이 심각한 멸종 위기를 맞고 있으며 서식지의 3분의 2 이상이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10월 06일, 06시 21분) (1) | 2023.10.06 |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10월 05일, 06시 21분) (0) | 2023.10.05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9월 23일, 06시 20분) (0) | 2023.09.23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9월 20일, 06시 21분) (0) | 2023.09.20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9월 19일, 06시 20분) (0) | 2023.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