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간 과학 인기 뉴스 TOP 10 입니다. (23년 04월 14일, 06시 20분)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AI 교육, Chat-GPT 이후를 준비해야…
생성형 AI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면서 교육계는 이것을 어떤 방법으로 수용하느냐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다. 우리 사회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과도한 규제와 경계로 인해 새로운 AI기술, AI플랫폼이 등장할 때마다 ‘위기인가, 기회인가’ 같은 양시·양비론의 굴레에서 한참 헤매게 된다.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개념을 넓혀 AI 플랫폼의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

“보름달 뜰 때 자살 많아져”…늘어난 달빛 생체시계에 작용
'보름달 뜰 무렵과 9월, 오후 3∼4시 대.' 주변에 우울감이나 알코올 장애를 가진 사람이 있다면 자살 예방을 위해 이 세 시기에 특히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보름달이 뜰 때 무언가 신비로운 일이 벌어진다는 민담이 전해져 왔는데, 실제로 이즈음 자살이 늘어난다는 과학적 분석이 제시된 셈이다.

세계 최대의 과학 축제 – 월드 사이언스 페스티벌
전 세계 3대 과학 축제는 영국 에든버러 과학 축제, 영국 첼튼엄 과학 축제, 그리고 미국과 호주에서 열리는 월드 사이언스 페스티벌(World Science festival)을 들 수 있다. 이 행사들의 공통점으로는 행사를 주관하는 거점 도시 및 대표 도시를 중심으로 도심 속에서 어우러지는 ‘도심형 축제’가 구성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행사들은 국제 규모이기 때문에 자국민들 뿐 아니라 전세계에서 찾아오는 행사이다. 마지막으로, 위 행사들은 기본적으로 정부 주도하에 한 (비)영리 단체에서 행사를 주관하며, 수많은 국제 기업들의 후원을 받는 형태로 행사 측의 자금 규모를 확장하기도 한다.

제임스 웹, 천왕성을 자세히 관측하다
태양계 일곱 번째 행성인 천왕성은 매우 독특하다. 먼저 천왕성은 공전 궤도면에서 약 90도 기울어진 상태로 자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행성의 한 극지방은 수년 동안 일정한 햇빛이 내리비치고 있다. 반면 다른 극지방은 완전한 어둠이 드리워져 있기에 극심한 계절 차이가 나타난다.

전북대 연구팀, 차세대 반도체 물질 ‘칼코겐’ 연구 성과
전북대학교는 10일 반도체과학기술학과 허근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반도체 물질로 주목받는 전이금속 칼코겐 물질(TMDc)의 연구 방향과 응용 원리를 집대성한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칼코겐 물질과 광소자, 메모리, 센서소자 등 응용원리를 집대성한 연구 성과를 기능성 전자소재 분야 톱 저널인 어드밴스드 펑서널 머터리얼즈(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 19.924) 최신호에 게재했다.

피부병과 대머리 치료가 가능할까?
외국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도 인체조직의 수요는 증가하는 반면, 기증자 수는 매년 감소세를 보입니다. 이는 인체조직을 충당하기 위해 요구되는 조직 기증의 중요성은 인식되지만 장기이식에 비해 인지도가 낮고 실제 사후 기증까지 이어지는 관심 또한 매우 낮기 때문입니다.

“지혈제 TXA 근육 주사, 산후 출혈에 효과”
지혈제인 트라넥삼산(TXA: tranexamic acid) 근육 주사제가 산후 출혈(PPH: postpartum haemorrhage)에도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혈액 응고를 돕는 TXA는 원래는 수술과 외상 출혈에 사용되는 정맥 주사제이지만 산후 출혈에도 눈을 돌리게 되면서 간단하고 빠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근육 주사제도 개발됐다.

제임스 웹, Cassiopeia A를 자세히 관측하다
카시오페이아자리(Cas A)는 그리스 신화에서 아름다움을 자랑했던 허영심 많은 여왕 카시오페이아(Κασσιόπεια)의 이름을 딴 북쪽 하늘의 별자리이다. 카시오페이아 여왕은 에티오피아의 여왕이자 세페우스 왕의 아내로 안드로메다의 어머니이기도 했다. 카시오페이아자리는 예전부터 가장 유명한 별자리 중 하나였는데, 이는 2세기 그리스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가 열거한 48개의 별자리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

KIST “맥신 고속합성·산화방지 기술 개발…상용화 기대”
높은 전기전도도와 우수한 전자파 차폐 능력을 갖춰 미래 소재로 주목받는 '맥신(MXene)'의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는 기술들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전자파솔루션융합연구단은 성균관대 구종민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맥신을 수 시간 만에 빠르게 합성할 수 있는 기술과 맥신을 유기용매에 분산시켜 안정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종호 “누리호 2차 성공, 3차 발사 담보 안해…최선 다해달라”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7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를 방문해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이 3차 발사를 담보하지 않는다"며 "3차 발사 준비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과기정통부는 이 장관이 이날 누리호 3차 발사 준비 현장을 점검하고 연구진과 산업체 관계자들을 격려했다고 전했다.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