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민 기반 이산화탄소 흡수제에 대한 이해"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I. 배경II. 아민 기반 이산화탄소 흡수 공정
III. 아민의 종류
IV. 아민의 분해 및 열적 안정성
V. 아민 기반 CO2 포집 기술의 발전
VI. 참고문헌
본문내용
온실 가스(GHG)는 적외선을 흡수하고 방출하여 열을 가두 어 온실 효과에 기여할 수 있는 지구 대기의 기체 화합물입 니다. 온실 효과는 이러한 가스가 지구 온도를 생명 유지에 적합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연적인 과정입 니다. 그러나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농도의 증가는 온실효과를 증대시켜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를 초래하였습니 다.주요 온실 가스에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산화탄소(CO2) - 주로 화석 연료의 연소, 삼림 벌채 및 다양한 산업 공정을 통해 생성됩니다.
메탄(CH4) - 주로 농업 활동, 가축, 매립지의 유기 폐기물 분해에서 배출됩니다.
아산화질소(N2O) - 농업 및 산업 활동과 화석 연료 연소 시배출됩니다.
플루오르화 가스 - 수소불화탄소(HFC), 과불화탄소(PFC) 및 육불화황(SF6)을 포함한 합성 가스 그룹으로, 주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각 온실 가스는 대기 중에 열을 가두는 능력이 다르며, 이 를 지구 온난화 지수(GWP)로 측정합니다. GWP는 특정 기간 동안(일반적으로 100년) 특정 온실 가스에 의해 포획된 열의 양과 동일한 질량의 이산화탄소에 의해 포집된 열의 양을 비 교하는 상대 척도입니다.
참고 자료
1. Gouedard, C., Picq, D., Launay, F., & Carrette, P. L. (2012). Amine degradation in CO₂ capture. I.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Greenhouse Gas Control, 10, 244-270. https://doi.org/10.1016/j.ijggc.2012.06.006Puxty, G., Rowland, R., Allport, A., Yang, Q., Bown, M., Burns, R., ... & Attalla, M. (2009). Carbon dioxide postcombustion capture: a novel screening study of the carbon dioxide absorption performance of 76 amine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3(16), 64276433. https://doi.org/10.1021/es9009033
Wang, M., Lawal, A., Stephenson, P., Sidders, J., & Ramshaw, C. (2011). Post-combustion CO₂ capture with chemical absorption: a state-of-the-art review.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and Design, 89(9), 1609-1624. https://doi.org/10.1016/j.cherd.2010.10.011
Lepaumier, H., Picq, D., Carrette, P. L., & Launay, F. (2010). New amines for CO₂ capture. II. Mechanisms of amine degradation in the presence of CO₂. International Journal of Greenhouse Gas Control, 4(5), 819-826. https://doi.org/10.1016/j.ijggc.2010.05.002
Ramdin, M., de Loos, T. W., & Vlugt, T. J. (2013). Stateof-the-art of CO₂ capture with ionic liquids. Industrial & Engineering Chemistry Research, 52(31), 10262-10282. https://doi.org/10.1021/ie3034687
Sayari, A., & Belmabkhout, Y. (2011). Stabilization of amine-containing CO₂ capture systems by means of nanoparticle additives.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4(3), 944-951. https://doi.org/10.1039/C0EE00676J
'논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opus 이해하기: 과학적 연구를 위한 핵심 도구 (0) | 2023.05.22 |
---|---|
[읽어볼만한 글] 박사 과정이 정말 짜증나거나 불만족스러운 상황인가요? (0) | 2023.05.12 |
논문 피인용 지수란 (0) | 2023.04.06 |
GWP 값을 결정하는 방법 (0) | 2023.04.05 |
GWP(Global Warming Potential) (0)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