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간 과학 인기 뉴스 TOP 10 입니다. (23년 03월 15일, 06시 20분)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과학자들이 말하는 ‘늙음’의 진짜 원인(3)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셀(Cell)’은 노화의 원인을 12가지로 정리하여 지난 1월 발표했다.

‘응답하라 시리즈’가 흥행한 심리적 이유?
오래된 영상 및 음악에 관련된 기억을 더 높이 평가하는 ‘미디어로 인한 심리적 과정’에 대한 연구 결과가 Journal of Communication에 발표됐다. 쥬디 와츠(Judy Watts) 켄사스대학교 박사는 어린 시절에 대중문화 미디어 및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어떻게 했는지가 훗날 시간, 장소, 사람을 연결하는 의미있는 매체가 된다고 밝혔다.

소행성 충돌실험 탐사선 DART, 최종 성공을 알리다
2002년 9월, 미항공우주국(NASA)의 이중 소행성 방향 전환 테스트 (DART: 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 미션 우주선은 소행성에 충돌하여 소행성의 궤도를 의도적으로 변경하는 첫 번째 행성 방어 시험에 일차적으로 성공했음을 알린 바 있다. 이처럼 DART의 성공은 이전에도 이미 보고된 바 있지만, 이번 네이처지에 실린 총 5편의 연구는 충돌의 마지막 순간과 소행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자세히 설명한다.

SNS 사용 줄이면 ‘외모 콤플렉스’ 벗어날 수 있어…
SNS 스타들을 향한 외모적 집착 및 외모 콤플렉스는 SNS 사용 시간을 줄이는 것만으로도 크게 개선되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이스턴 온타리오 아동병원(CHEO) 연구진은 단 몇 주 동안 SNS 사용을 50% 줄인 청년들이 일반적인 사용량을 유지한 또래들에 비해 체중 및 외모에 대해 느끼는 방식이 크게 개선되었다고 밝혔다.

자동차 배기가스가 의사소통 능력을 방해한다
디젤 배기가스에 단 2시간만 노출되어도 뇌의 기능적 연결성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환경건강저널(Environmental Health)에 게재됐다. 브리티시 컬림비아 대학 대기오염노출연구소 연구진은 배기가스에 노출된 경우 기억과 사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 영역과 DMN의 광범위한 부분에서 기능적 연결성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대전 원도심 공실에 스마트팜 조성…참여공간 4월 7일까지 모집
대전시는 원도심 공실을 활용해 지능형 농장(스마트팜)을 조성하는 사업에 참여할 공간을 다음 달 7일까지 모집한다고 10일 밝혔다. 대전시는 원도심의 빈 건물에 교육·체험을 하는 테마형, 품종 개량이나 기술 실증을 위한 기술연구형 등 2개 유형의 스마트팜을 조성할 계획이다. 미래농업 육성과 안전한 먹거리 생산, 원도심 공실 문제 해결을 위한 사업으로, 대전일자리경제진흥원이 주관한다. 신청 대상은 원도심(원동·소제동·정동·중동·삼성동·은행동·선화동·대흥동)에 위치한 연면적 396.69㎡ 이상인

KAIST, 암세포만 약물 전달 ‘클라트린 조립체’ 개발
암을 부작용 없이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약물을 암세포에만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단백질로 구성된 단백질 조립체는 암 치료를 위한 약물 전달에 널리 활용되는데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에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클라트린 조립체’를 개발했다   14일 KAIST에 따르면 생체 내 클라트린이라는 단백질 조립체는 세포 안에서 스스로 조립(자가조립)돼 물질을 효율적으로 수송한다. 연구팀은 이에

최근 북반구에서의 아름다운 천문 현상들
최근 북반구에서는 여러 아름다운 천문 현상들이 관측되고 있다. 행성들이 정렬되며 행성들의 합이 나타나고 있으며 오로라도 자주 관측되고 있다.

먹어도 살 안 찐다?…저항전분 연구하는 이창주 교수
“워낙 음식을 좋아하다 보니 저열량 식품의 소재를 개발하게 됐죠.” 14일 원광대학교 이창주 식품생명공학과 교수의 연구실 칠판에는 난소화성 저항전분(RS)의 구조적 특징에 관한 기록이 빼곡했다. 팀 연구 과제를 적어놓고 방향을 설정하고 있었다. 이 교수는 저열량 식품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식품 산업에 접목하는 연구에 진심이다. 그가 국내·외에 발표한 연구 논문만 37편이고 관련 분야 특허까지 보유했다. 2021년 국제생물고분자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남원시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학생 3천명 교육·전문강사 육성
전북 남원시는 2025년까지 96억원을 투입해 소프트웨어 교육 거점센터를 구축하고 미래 인재를 양성한다고 10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3년 소프트웨어 미래채움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비와 도비 54억원을 지원받는 사업이다.   시는 각종 소프트웨어와 함께 메타버스, 로봇, 인공지능, 드론 등을 가르칠 거점센터를 공동도서관에 만들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우선 연간 3천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교육과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소프트웨어 전문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