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 중국은 반도체 산업의 낮은 자급률(‘15년 13.5%)과 대규모 무역적자를 개선하기 위해 ‘중국제조 2025’를 발표하는 등 반도체 산업 육성 계획을 제시
- ‘15년 최초 발표 시에는 2025년까지 반도체 목표 자급률을 70%로 설정 하였으나, 기술적 어려움 등으로 ‘18.2월 목표 자급률을 50%로 하향 조정
◦중국 산업의 기본적인 성장 전략은 해외기업의 M&A를 통한 기술· 인력 확보이지만, Micron·Western Digital·Toshiba 등에 대한 인수 시도가 실패로 끝나 기술 및 인력 확보에 난항을 겪고 있음
- 중국의 주요 메모리 업체로는 창장메모리(YMTC), 이노트론, 푸젠진화 3개사가 있으며 당초 계획보다 개발과 양산 일정이 늦어져 아직 제대로 된 양산체제를 갖추지 못한 상황으로 보임
◦ 한국과학기술평가원(KISTEP),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에서 평가한 기술경쟁력 평가에서 한국과 중국의 전반적인 반도체 공정/장비 기술 격차는 1.2~2.9년으로 나타남
- 중국업체의 메모리 양산 목표 제품과 삼성전자의 과거 양산 이력을 비교해보면 제품 출시시기에서 4년 이상의 격차가 있는 것으로 보임
'반도체 & 환경안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GHS(세계조화시스템)란? (0) | 2019.09.14 |
---|---|
MSDS 란 무엇입니까? (0) | 2019.09.14 |
화학물질 정보 검색을 위한 국외기관정보 (0) | 2019.09.14 |
반도체 주요 장비 및 기능 (0) | 2019.09.03 |
반도체 공장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 (0) | 2019.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