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와이어) 2022년 03월 15일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이병호)은 항공우주공학과 윤군진 교수(참여학생, 박사과정 이강현)가 미국 공군 연구소(Air Force Research Laboratory)의 기술개발 연구 과제를 수주했다고 15일 밝혔다. 윤군진 교수가 이번에 수주한 프로젝트는 금속 적층 제조 기술을 적용한 기계적 메타 물질 설계를 위한 연구 프로젝트다. 윤군진 교수는 해당 연구 과제 수주로 미국 공군 연구소 산하 항공우주연구개발 아시아 지부와 미 공군 과학연구소에서 2022년부터 3년간 총 50만달러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됐다. ◇고정밀 금속 적층 제조 기술 적용한 기계적 메타 물질 설계 및 제작 적층 제조 기술은 부품의 형상 자유도가 높아 기계적 메타 물질(음의 푸아송비를 ..
서울--(뉴스와이어) 2022년 03월 14일 -- 국내 대표 학술 플랫폼 DBpia(디비피아)가 누리미디어의 연구 지원 사업인 ‘아카루트’와 손잡고 국내 학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신진 연구자의 논문 투고료를 지원한다. 논문 투고료 지원 사업은 신진 연구자와 학문 후속 세대가 국내 학술지 논문 투고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돕고 부담 없이 논문 투고를 진행할 수 있게 논문 심사료와 게재료 일체를 지원하는 것이다. 연구가 가장 활발한 시기면서도 경제적으로 취약한 신진 연구자들에게 수십만원에 달하는 논문 투고료는 적잖은 부담이다. 게다가 대학원 과정에서 보통 3편 이상의 학술지 논문 게재를 졸업 요건으로 두는 현실에서 100만원에 달하는 금액은 학문 후속 세대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논문 투고료 지원 사..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1VRpC/btrvNHiKRlM/cJpuRhIpEwNnGLUtkM4060/img.jpg)
요즘 코로나 바이러스가 창궐하면서 PCR 검사에 대해 많이 들어 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PCR은 도대체 뭐고, 또 그 원리는 무엇인지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PCR이라는 놀라운 기법에 대해 최대한 알기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우선 PCR은 Polymerase Chain Reaction의 두문자어입니다. 한국어로 바꿔 보면 '중합 효소 연쇄 반응'인데, 여기에 담긴 의미를 풀어서 설명하면 '중합 효소를 이용하여 DNA에 연쇄 반응을 일으켜 그 양을 증폭시키는 것'이 됩니다. 중합 효소가 뭔지, DNA에 어떻게 연쇄 반응을 일으키는지는 아직 모르겠으나 'PCR이라는 기법을 사용하면 원래 갖고 있던 DNA의 양을 늘릴 수 있겠구나!'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자, 그러면 오늘의 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로 ..
허이루! 대선을 이틀 앞두고 `보이루 논문` 실태점검 결과를 확보해 안내드립니다.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지평가 심의 결과, `해당 논문 철회` 및 `해당 저자의 일정 기간 논문투고 금지`를 포함한 관리지침상의 행정조치를 취할 것을 소관 기관인 철학연구회에 요청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관련 규정은 제9조 1항이며,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됩니다. 1. 해당 논문에 대한 철회 사실과 사유를 명기하여 공개 및 보존 조치 2. 논문저자 향후 논문투고 금지 (최소 3년 이상) 3. 관리기관 홈페이지 및 학술지를 통해 공지 4. 재단에 해당 내용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 (기관 내부 윤리위원회 등 관련 회의 결과 포함)을 통보 5. 연구비 지원을 받아 작성된 논문의 경우 해당 연구지원기관에 세부 사항 통보 6. 논문저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고 제 2022 – 0103호 2022년도 과학기술 혁신인재양성사업 신규과제 통합 공고 2022년도 주요 전략분야별 석‧박사급 고급 R&D 인재 육성을 위해 과학기술 혁신인재양성사업 신규과제를 아래와 같이 통합 공모 하오니 관심 있는 연구자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임혜숙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이광복 2022년 1월 27일 □ 관련사업 ①데이터사이언스 융합인재양성 ②양자정보과학 인적기반조성 ③우주분야 전문인력양성 ④육해공무인이동체 혁신인재양성 ⑤기후기술인재양성 시범사업 ⑥가속기인력양성 및 활용지원 ⑦감염병연구 전문인력양성 ※ 세부내용은 사업별 안내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 문의처 사업명 정부 전문관리기관(한국연구재단) 담당부서 전화 (042-869-****)..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고 제2022–0188호 2022년 한국 이공계 대학원생 캐나다 연수프로그램 공모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한-캐나다 양국 간 인력교류 사업을 통해 신진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을 증진하기 위하여 한국 이공계 대학원생 캐나다 연수 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공모하오니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2022년 2월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 관 임 혜 숙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이 광 복 1. 사업목적 ㅇ 한국과 캐나다의 신진연구자 연구 활동을 촉진하고, 양국 대학 간 연구개발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해외연구 경험 제공 및 연구역량 증진 2. 사업내용 ㅇ 지원분야 : 과학기술 전분야, 과학기술과 인문・사회과학 융합* * 과학기술과 인간 및 사회 사이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합 학문적 시각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고 제2022 – 0255호 2022년도 한국 이공계 여성대학원생 미국 연수프로그램 신규 공모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한-미 양국 간 인력교류 사업을 통해 여성 신진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 증진과 이공계 진출을 촉진하기 위하여 2022년도 한국 이공계 여성대학원생 미국 연수프로그램을 다음과 같이 신규 공모하오니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2022년 3월 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 관 임 혜 숙 한국연구재단 이사장 이 광 복 1. 사업목적 ○ 한국과 미국 양국 간 인력교류 사업을 통해 여성 신진연구자의 연구 활동 및 이공계 분야 진출을 촉진하고, 양국 간 공동 R&D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연구역량 증진과 해외 연구 네트워크 구축 기회를 제공 * 한-미 양국은 ‘한-미 과학기술공..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W05yM/btruFfVR3EI/nKf5OMLhwmQ5WZW7WgBi90/img.png)
그래핀은 그림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그래파이트 (흑연) 을 구성하는 하나의 레이어 (Single Layer)를 칭합니다. 그래핀은 탄소(Carbon)로 이루어진 구조이며 Carbon-Carbon 은 공유결합으로 연결돼있고, 위 그림처럼 Hexagon 형태를 갖고 있습니다. 그래핀은 여러 독특한 특성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에 하나가 넓은 비표면적을 가지고 있는 것 입니다. 그래핀의 이론적 비표면적은 2630 m2/g 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래핀의 이론적 비표면적을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해보고자 합니다. ■ 비표면적의 정의: 입자의 단위 질량당 표면적. 입자가 작아질수록 커지기 때문에 물질의 흡착 계면 현상을 측정하는 데 이용된다. ■ 비표면적의 단위: 단위 m2/g (시료 1g당 표면적..
투왈, 사우디아라비아--(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 2022년 02월 28일 -- 지속 가능성과 청정에너지라는 메가트랜드가 지구의 녹색 미래를 향한 우리의 접근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풍력과 태양열 등 재생에너지 기술이 연구 중점 분야를 주도하고 있다. 태양열 기술에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PSC)는 15년 동안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실리콘 태양 전지가 주도하는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새로운 기술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의 상용화가 성공하려면 높은 전력 변환 효율(PCE) 외에 안정성과 확장성이라는 두 가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KAUST(킹압둘라과학기술대학교) 연구진은 최근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한 논문에서 사상 처음으로 PV 습열 테스트에 성공하면서 중요한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R8r2k/btrt5wKSd3S/nKYAUhPEryvSEH6dzar3t0/img.jpg)
세종--(뉴스와이어) 2022년 02월 23일 --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류장수)은 외국인의 국내 신규 박사학위 취득 실태를 시계열로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2012년부터 매년 수행 중인 박사조사의 하나로 2012년부터 2021년까지의 국내 신규박사학위 취득자 실태를 연도별로 분석한 것이다. 2021년 국내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외국인은 전년보다 약 57% 증가한 1944명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는 등 조사를 시작한 10년 전(2012년 473명)보다 4배 이상 증가했다. 또한 외국인 박사 중 여성의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국내 전체 신규 박사학위 취득자 중 외국인 비중은 14.3%로 전년보다는 2.3%p, 10년 전보다 7.6%p 각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