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표면, 대기 및 구름에 의해 복사되는 적외선 스펙트럼 중 특정 파장에서 복사열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대기 중의 자연적인 또는 인위적인 가스 성분 비고 온실가스는 이산화탄소(CO₂), 메탄(CH₄), 아산화질소(N₂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 (PFCs) 및 육불화황(SF6)이 포함된다. 2022.05.08 - [무기화학] - 온실가스 배출량 계산 온실가스 배출량 계산 온실가스 배출량 (Emission) = 활동자료 (activity data) X 배출계수 (emission factor) X 지구온난화지수(GWP) 2019.08.19 - [논문] - 온실가스별 지구온난화지수(GWP)란? 온실가스별 지구온난화지수(GWP)란? 온.. chemdb.tistory.com 2019.08.19 -..

온실가스 배출량 (Emission) = 활동자료 (activity data) X 배출계수 (emission factor) X 지구온난화지수(GWP) 2019.08.19 - [논문] - 온실가스별 지구온난화지수(GWP)란? 온실가스별 지구온난화지수(GWP)란? 온실가스는 대기의 온도를 높이는 가스를 말하며 대표적으로 이산화탄소(CO2), 메탄(CH4) 등이 있고 IPCC 에서 CO2, CH4, N2O, HFCs, PFCs, SF6 등을 온실 가스로 정하였다. 이 가스들이 지구 온난화에 미치 chemdb.tistory.com 배출 계수는 다음의 고시를 참고 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https://www.law.go.kr/%ED%96%89%EC%A0%95%EA%B7%9C%EC%B9%99/%EB%B0..
흡착 (adsorption) 경계면에서 특정한 물질이 축적되는 현상 고체와 기체가 평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에서 기체상 평균 농도에 비해 고체 표면에서 기체 성분의 농도가 더 높게되면 고체 표면에 기체 성분이 흡착되었다고 말함 흡수(absorption) 흡착된 물질이 경계면에서만 농축되지 않고 고체 내부로 투과 확산되어 계 전체의 농도가 증가하는 경우를 흡수라고 함 수착(sorption) 흡착과 흡수가 동시에 진행되거나 경계면이 애매하여 두 현상을 명확하게 구별하기 어려운 때를 합하여 이름 탈착(desorption) 경계면에서 흡착된 물질의 농도가 감소하는 경우 위의 흡착의 반대과정으로 이해하면 쉬움. 흡착된 기체 분자가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현상을 말함
□ 나노세공의 분류 기공크기에 따라 - 마이크로포러스 (microporous, ~2 nm) - 메조포러스(mesoporous, 2 nm~50 nm) - 마크로포러스(macroporous, 50 nm~) □ 촉매 지지체로서 활용 다양한 세공 크기를 갖는 지지체를 활용하여 나노 입자 크기의 금속/금속 산화물 등의 촉매를 담지하여 촉매로 활용하는 연구들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메조포러스 크기의 기공을 갖는 지지체 중 대표적인 종류가 메조포러스 실리카(SiO2) 이며, 구형(Spherical) 형태와 SBA-15 와 같이 벌집 형태로 크기가 정렬된 형태 등 다양하게 합성 및 활용되고 있다. 메조포러스 물질은 주형 (Template)으로 친수성(hydrophilic)기와 소수성기(hydrophobic) 기..

모노에탄올아민 (Monoethanol amine)은 이산화탄소 습식 흡수제로 가장 대표적인 아민류입니다. 화학적으로는 아민류는 Lewis base 이고 이산화탄소는 Lewis acid로 산/염기 반응을 기초로해서 이산화탄소 흡수 반응에 활용하게 됩니다. 습식 흡수제의 경우 흡수탑과 재생탑으로 구성된 공정에서 이산화탄소 재생하는 과정에서 모노에탄올아민의 경우 분해 반응이 일어나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습식 흡수제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모노에탄올아민의 흡수제의 경우 위의 화학 반응식과 같이 반응이 진행됩니다. 모노에탄올 아민 한분자에 이산화탄소 한 분자가 반응을 하게 됩니다. 모노에탄올아민의 습식 흡수제 사용의 경우에는 위에 설명하는 것과 같이 흡수 메커니즘에 대해서 잘 정리가 돼 ..

CIF 파일은 Crystallographic Information File의 약자로 결정을 풀면 얻을 수 있는 결정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입니다. CIF 파일의 경우 논문에 발표하기 위해서는 CCDC Number를 받고 후속 조치들을 해나가고 있습니다. CCDC는 The Cambridge Crystallographic Data Centre (CCDC) 의 약자로 쉽게 생각하면 결정 Database 입니다. 저도 결정 풀어놓은 것이 있는데 하도 오래전에 풀기도했는데 최근에 논문 작업하면서 CCDC에 CIF 파일을 직접 deposit 하는 과정을 해봤습니다. 결정학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등록할 수 있는 구조로 돼있는 것 같습니다. CIF 파일 등록이 필요한 분들은 참고하셔서 직접 등록해보시길 바랍니다. CCD..

산성 산화물(酸性酸化物)은 물과 반응하여 산을 만들거나, 염기와 반응하여 염을 만드는 산화물을 말한다. 비금속, 또는 산화수가 큰 금속의 산화물이다. 산성 산화물의 예는 다음과 같다. 이산화 탄소: 물과 반응하여 탄산이 되거나, 염기와 반응하여 탄산염을 만든다. 이산화 황: 물과 반응하여 불안정한 아황산을 만들거나, 염기와 반응하여 아황산염을 만든다. 이산화 규소: 물과는 반응하지 않지만, 염기와 반응하여 규산염을 만든다. 삼산화 크로뮴(CrO, Cr2O3, CrO3): 물과 반응하여 크로뮴산과 다이크로뮴산을 만들고, 염기와 반응하여 크로뮴산염을 만든다. 참고: https://ko.wikipedia.org/wiki/%EC%82%B0%EC%84%B1_%EC%82%B0%ED%99%94%EB%AC%BC
C18 TMS는 탄소를 21개 가지고 3개의 methoxy silane 그룹을 가지고 있는 Compound를 말한다. 공식 명칭은 n-octadecyltrimethoxysilane 이다. Octadecyltrimethoxysilane Trimethoxyoctadecylsilane Silane, trimethoxyoctadecyl- n-Octadecyltrimethoxysilane Trimethoxy(octadecyl)silane 과 같은 동의어를 가진다. 기본적인 물성은 다음과 같다. MW 374.67364 Molecular Formula C21H46O3Si Density 0.883 Melting point 13-17 ºC Boiling point 170 ºC (0.1 mmHg) Refractive in..
Nickel은 원자 번호가 28번으로 d orbital에 전자를 8개를 가지고 있다. Nickel +2가의 경우는 4s 오비탈의 2개의 전자를 잃어 d 오비탈에 총 8개의 전자를 갖고 있다. Nickel(II) 이 리간드와 결합해서 착물을 이룰 때 가질 수 있는 구조가 Octaheral(정팔면체)과 Tetrahedral과 Square Planar(평면 사각형)이 있다. 각각의 경우 degenerate 돼 있던 d 오비탈이 각 경우게 따라 약간씩 다르게 Spilitting 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이 각각의 Splitting Diagram 에 8개의 전자 배치를 가지고 Octahedral 및 Tetrahedral 과 Square Planar 를 구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Octaheral의 경우 Sp..
Sodium azide (NaN3) and hydrazine sulfate (N2H4 ·H2SO4) were purchased from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Hydrazine monohydrate (N2H4·H2O) was obtained from Tokyo Chemical Industry Co. (Tokyo, Japan) and n-butanol was purchased from Daejung (Seoul, Korea). They were used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Hydrazinium azide (HA) was obtained by the reaction of sodium azide and hydrazine. A th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