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어진상수값
acetic acid pKa = 4.74
acetic acid Ka = 1.8 x 10-5
Kw = 1.0 x 10-14
아세트산(CH₃COOH)을 NaOH로 적정하는 경우의 pH 계산은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 반응식 설정
- CH₃COOH + NaOH → CH₃COO⁻ + H₂O
- 몰의 계산
- 아세트산의 몰 수: 0.500 M × 0.02000 L = 0.0100 mol
- NaOH의 몰 수: 0.500 M × 0.00800 L = 0.00400 mol
- 반응 후 남은 아세트산과 생성된 아세트산 이온의 몰 수 계산
- 반응 후 남은 아세트산의 몰 수: 0.0100 mol - 0.00400 mol = 0.00600 mol
- 생성된 아세트산 이온(CH₃COO⁻)의 몰 수: 0.00400 mol (NaOH와 1:1로 반응하기 때문)
- 반응 후 용액의 총 부피 계산
- 총 부피: 20.00 mL + 8.00 mL = 28.00 mL = 0.02800 L
- 농도 계산
- 남은 아세트산의 농도: 0.00600 mol / 0.02800 L = 0.214 M
- 생성된 아세트산 이온의 농도: 0.00400 mol / 0.02800 L = 0.143 M
- Henderson-Hasselbalch 방정식 사용
- pH = pKa + log([A⁻]/[HA])
- pH = 4.74 + log(0.143 / 0.214)
- pH = 4.74 + log(0.668)
log(0.668)의 값은 약 -0.175이므로,
- pH = 4.74 - 0.175 = 4.565
따라서, 적정 후 용액의 pH는 약 4.57입니다.
'일반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화학실험2_용해열과과냉각실험 (0) | 2024.02.25 |
---|---|
일반화학실험2_시계반응 (0) | 2024.02.25 |
Arrhenius acid/base, Brønsted-Lowry acid/base, Lewis acid/base 각각에 대한 정의와 예시 (0) | 2024.02.04 |
염석효과(salting-out effect) (0) | 2024.01.28 |
케톤과 카보닐기의 차이점이 뭔가요 (1) | 2023.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