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EP소재, 즉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s)은 일반적인 상용 플라스틱보다 더 높은 기계적 강도, 내열성, 내화학성 등을 가진 소재로, 고성능을 요구하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여기서 언급된 PA, PBT, mPPO, PC, PPS, PPA 등은 모두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대표적인 종류입니다. 각각의 특성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PA (Polyamide, 나일론): 우수한 내마모성과 기계적 강도, 탄성, 내화학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부품, 섬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2. PBT (Polybutylene Terephthalate): 높은 기계적 강도와 열안정성,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며, 수분 흡수율이 낮습니다.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 부품, 가전제품 등에 적용됩니다.
3. mPPO (Modified Polyphenylene Oxide, 변형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높은 내열성과 치수 안정성, 우수한 전기적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불연성 소재입니다. 전기/전자 부품, 가전제품, 자동차 부품 등에 사용됩니다.
4. PC (Polycarbonate): 뛰어난 충격 강도와 내열성, 투명성을 가지고 있어, 안경 렌즈, 전구 커버, 보호 헬멧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5. PPS (Polyphenylene Sulfide): 우수한 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을 가지며, 고온에서도 강도가 유지됩니다. 자동차 부품, 전자 부품, 가전제품 등에 활용됩니다.
6. PPA (Polyphthalamide): 매우 높은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어, 엔진 컴포넌트, LED 조명, 고온에서 사용되는 전자 부품 등에 사용됩니다.
각각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특유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됩니다. 이 소재들은 고성능을 요구하는 현대 산업 사회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호타이어, 임원 인사 단행 (0) | 2024.07.05 |
---|---|
한화, 성과급 제도 개편… RSU 전 계열사 팀장급에도 적용 (0) | 2024.02.07 |
태국 최장수 기업 비그림그룹, 창립 145주년 기념 행사 개최 (0) | 2023.11.24 |
현대자동차, 채용전환형 ‘서비스 엔지니어 인턴’ 모집 (0) | 2023.11.11 |
한화시스템 사내벤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우주용 태양전지 기술 협력 MOU 체결 (0) | 2023.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