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간 과학 인기 뉴스 TOP 10 입니다. (23년 12월 04일, 06시 20분)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임신 13~16주 차의 당신과 아기,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임신의 과학' 시리즈에서는 임신 주차별 산모와 태아가 겪는 변화를 살펴본다. 임신 9~12주차를 다루었던 지난 3화에 이어 이번화에서는 임신 13~16주차를 살펴보고자 한다.

낮에도 자꾸 졸린 당신, 수학이 ‘꿀팁’ 드립니다
근무 시간, 수업 시간에 자꾸 졸려 곤욕이라면 주목! 수학이 잘 자고, 잘 깨어 있는 법을 알려준다.

드디어 풀린 미스테리, 식물이 빛을 보는 방법
식물은 어떻게든 빛을 향해 자신의 몸을 뻗는 방법을 알고 있는듯하다. 즉, 인간이나 다른 동물과는 다른 방식으로 빛을 "보는"것이다. 드디어 수수께끼가 풀렸다. 과학자들은 눈도, 뇌도 없는 식물이 어떻게 빛의 방향을 따라 성장하는지 알아냈다. 과연 식물은 어떻게 빛을 볼 수 있을까?

한국인 자기 관리 비결은 ‘김치 테라피’
김장철을 맞아 김치 섭취의 건강적 이점을 모아봤다. 살도 빠지고, 피부도 좋아지고, 바이러스 저항력도 높아진다.

바람을 야무지게 이용하기
풍력은 재생에너지 공급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오늘날 지상 또는 해상 풍력발전은 설치와 유지보수 비용이 크고 입지 선정을 위해 까다로운 조건들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제시되고 있다.

과학으로 김장하기
싱싱한 배추 고르기부터 푹 익은 맛좋은 김치가 되기까지. 김장에 숨은 과학적 비결을 소개한다.

과학 커뮤니케이터 모여라! ‘2023 과학문화산업 소통축제’ 성황리에 개최
‘과학으로 소통하는 세상, 2023 과학문화산업 소통축제’는 과학커뮤니케이터의 활동을 소개하고, 과학문화 콘텐츠를 대중과 함께 향유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되었다. 전국의 과학커뮤니케이터들이 모인 그날의 현장을 사이언스타임즈가 함께했다.

꽃으로 덮인 지구… ‘식물의 역사’ 이야기
공룡은 대략 2억 5천 년 전쯤 나타나 2억여 년 가까이 번성하며 살다가 6천5백만 년 전후로 사라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룡은 꽃을 보지 못한 것이다. 꽃을 피우는 속씨식물들이 지구에 나타난 것은 대략 2억 년 전쯤이다. 식물의 전체 역사에서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갖는 속씨식물. 흥미로운 점은 속씨식물이 현재 육지 위에 번성한 식물 중 90%를 차지한다는 점이다. 지구 식물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

헌팅턴병 치료제 개발현황
헌팅턴병은 1872년 미국 의사인 조지 헌팅턴에 의해 처음 보고된 신경질환으로, 상염색체 우성으로 발병되는 희귀한 유전병입니다. 헌팅턴병은 돌연변이 헌팅틴 단백질에 의해 유발되며, 주로 뇌의 선조체 부위에서 신경세포의 손상이 일어납니다. 이로 인해 환자들은 주로 운동과 인지기능에 문제가 생깁니다. 헌팅턴병과 치료제 개발현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인터뷰] “세계 석학과 동료 연구자들과의 교류는 ‘새로운 스파크’를 만들죠.”
사이언스타임즈는 지난 13일부터 18일까지 홍콩 사이언스파크에서 개최된 홍콩수상자포럼(HKLF)에서 한국의 신진 연구자를 만났다. 역대 노벨상, 쇼상 수상자와 신진 연구자들이 대거 참석한 이번 행사는 그들에게 '살아있는 교과서, 살아있는 연구실' 자체다.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