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향기’가 불러온 추억? 향기는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돼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뇌바이오 연구센터 연구진은 향기가 노인들의 기억력을 향상시켰다는 실험 결과를 에 발표했다. 이른바 ‘향기요법’으로 불리는 이 실험은 후각을 강화하는 것으로 뇌 건강 및 뇌 기능을 향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배달의 민족, ‘비누의 민족’ 될 수 있다
버려지는 플라스틱 폐기물은 비누로 전환할 수 있는 새로운 공정이 개발됐다. 미국 연구진은 벽난로의 연소 과정에서 이 공정의 아이디어를 얻었다.
LK-99는 초전도체가 아니다?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퀀텀에너지연구소의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결론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LK-99' 가 초전도성을 갖는다고 판단하게 한 자석 위에서의 부상은 '강자성' 으로 인한 부분 부상 현상으로 보고 있으며, 전기 저항이 급격하게 저하하는 원인은 'LK-99' 샘플을 합성하던 중 생성된 '황화구리' 때문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영화보다 더 잔혹한 가상의 태풍 피해 시나리오
태풍이 유발하는 풍수해는 우리 사회를 위협하는 주요 재난 중 하나로 꼽힌다. 가상의 슈퍼 태풍 피해 시나리오는 상상보다는 현실과 가까워 보인다.
‘곤충도 화학산업 원료’…”파리로 생분해성 플라스틱 만든다”
미래 식량·사료 자원 등으로 주목받고 있는 곤충을 원료로 자연에서 잔류 오염물질 없이 완전히 분해되는 고기능성 바이오플라스틱을 만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텍사스 A&M대학 캐런 울리 교수팀은 14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미국 화학회 가을회의(ACS Fall 2023)에서 동물 사료 등으로 기르는 동애등에(black soldier flies)의 성충 사체에서 추출한 화학물질로 바이오플라스틱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울리 박사는 “20여년 간 사탕수수
‘방구석 관람’ 새로운 문화예술 향유 트렌드가 되다
코로나19가 만든 사회 현상 중 대표적인 '방구석 관람(온라인 공연 관람)'이 새로운 문화예술 향유 트렌드로 자리 잡는 분위기다.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도 온라인 공연 관람 의향 57.5%를 차지하고, 대중음악 분야 온라인 공연 스트리밍 공연 수요 크게 증가했다.
네이처 “LK-99 초전도체 아니다…독일 연구팀이 답 찾았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막스플랑크 고체연구소 연구팀이 한국 연구진이 상온·상압 초전도체라고 발표한 ‘LK-99’가 초전도 유사 현상을 보이는 이유를 규명,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과학저널 ‘네이처'(Nature)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네이처는 파스칼 푸팔 박사가 이끄는 막스플랑크 고체연구소 연구팀이 LK-99의 순수한 단결정 합성에 성공했으며 LK-99 단결정은 초전도체가 아니라 오히려 절연체임을 밝혀냈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지난 14일 공개한 이 연구에서 한국 연구팀이
“알코올 중독 원숭이, 유전자 치료 후 음주량 90% 감소”
현재 파킨슨병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유전자 치료법을 알코올 중독 모델 원숭이에게 적용한 결과 음주량이 치료 전보다 90% 이상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학(OHSU)·오리건 영장류 국립연구센터(ONPRC) 크리스토프 뱅키에비치 교수팀은 15일 의학저널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에서 뇌수술로 유전자를 원숭이 뇌에 전달하는 치료법으로 알코올 섭취를 극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세포 성장을 유도하는 특정 유전자를 뇌에 주입하자
움직임과 땀 모두 전력으로…스마트 의류용 섬유 개발
사람이 활동할 때 생기는 마찰뿐 아니라 습기와 땀까지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스마트 섬유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전자재료연구센터 송현철 책임연구원과 장지수 선임연구원팀이 마찰전기 섬유와 땀 전지 섬유를 엮어 전기를 만드는 새로운 스마트 의료용 섬유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마찰에서 전기를 얻는 마찰전기 섬유와 땀 속 포도당을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땀 전지 섬유는 쓸모없는 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해 활용하는 기술인
‘안드로메다 관측으로 암흑에너지 연구 가능’…새 측정법 제시
먼 미래에 우리은하(Milky Way)와 충돌할 운명인 이웃 은하 안드로메다를 관측, 우주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면서도 현대 과학의 최대 수수께끼 중 하나로 남아 있는 암흑에너지(dark energy)를 측정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데이비드 베니스티 박사팀은 16일 과학저널 ‘천체물리학 저널 레터스'(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서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은하의 총질량과 두 은하의 움직임을 연구하면 암흑에너지의 가장 단순한 모델인 우주상수(cosmological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의 우주 탐사, Chandrayaan-3의 달 착륙 (0) | 2023.08.23 |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8월 23일, 06시 20분) (1) | 2023.08.23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8월 20일, 06시 21분) (0) | 2023.08.20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8월 19일, 06시 20분) (0) | 2023.08.19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8월 18일, 06시 20분) (1) | 2023.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