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올 여름 대박 천문현상,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
여름철 더위를 피해 떠난 피서지, 산골짜기나 계곡에서 밤하늘을 쳐다본 적이 있는가? 당신이 운이 좋았다면 하늘에서 쏟아지는 듯한 별똥별을 보았을 것이다. 보지 못했다고 해서 실망하기는 이르다. 올해 관측 가능한 가장 활발한 유성우 중 하나인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가 13일 관측될 예정이다.
고인류판 ‘견우’와 ‘직녀’는 어떻게 만났나
서로 다른 지역에 거주해서 만나기 어려웠던 두 인류 종이 사랑을 싹 틔울 수 있었던 원동력이 밝혀졌다. 바로 기후변화다.
제임스 웹,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탄생지역을 자세히 관측하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통해 바라본 우주의 첫 사진이 공개된지도 어느덧 1년이 되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팀은 1주년을 기념하며 뱀주인자리(Ophiuchi)의 별 탄생 지역인 Rho Ophiuchi 주변의 성운 'IC 4603'의 사진을 공개했다.
‘미생물로 친환경적 나일론 생산’ KAIST, 미생물 균주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 한태희 박사가 나일론-5의 단량체인 발레로락탐을 생산하는 미생물 균주를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발레로락탐은 우수한 가공성과 가볍고 질긴 특징으로 의류·배드민턴 라켓 줄·어망·기어 부품 등 산업 전반에 활용되는 고분자 합성섬유인 나일론-5의 중요 단량체이다. 단량체는 고분자를 만드는 재료로, 단량체들을 서로 연결해 고분자를 합성하게 된다. 석유 화학을 기반으로 화학적 발레로락탐을 생산하는 것은 극한 반응조건과 유해
이끼의 경고… “4억년 견딘 히말라야 이끼, 온난화에 멸종위기”
빠른 진화 속도로 혹독한 환경에 적응하며 4억년을 살아온 히말라야 티베트고원의 이끼도 현재 진행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는 살아남지 못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 랄프 레스키 교수와 중국 서우두사범대 허이쿤 교수팀은 10일 과학저널 ‘셀'(Cell)에서 티베트고원 등에 사는 화석 식물인 타카키아 이끼의 DNA 분석 결과 유전적으로 매우 빠른 진화 특성을 가졌지만 현 기후변화에서 살아남을 만큼 빠르게 진화하지는
100만 년 전 유럽에 발생한 ‘끔찍한 사건’, 배후는?
약 110만 년 전 유럽에서는 고대 인류가 갑자기 사라졌다. '멸종 사건'의 배후가 밝혀졌다.
코로나19백신으로 뜬 mRNA…암·독감 등으로 영역 확장중
코로나19 백신의 등장과 함께 스타덤에 오른 바이오 기술이 있다. 바로 메신저리보핵산(mRNA) 기술이다. 첫 등장 이후 30년간 상용화되지 못하다가 지난 2020년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이 미국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승인받으며 다른 치료제로 확장이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mRNA는 인체에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는 일종의 ‘설계도’ 역할을 하는 유전 물질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백신은 바이러스 정보를 담은 mRNA를 우리 몸에 주입해
LK-99 저자들 내분…고려대 연구진실성위 예비조사 여부 곧 결정
퀀텀에너지연구소 등 한국 연구진이 개발했다고 주장하는 상온·상압 초전도체 ‘LK-99’와 관련한 논문을 둘러싸고 저자들 간 분쟁이 점차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10일 고려대에 따르면 이 대학 연구진실성위원회는 권영완 연구교수가 LK-99 관련 논문을 다른 저자 동의 없이 올렸다는 의혹과 관련한 제보를 접수하고 이르면 이번 주 내로 예비조사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검증절차에 따르면 위원회는 제보 접수 30일 내로
자생종 ‘긴호랑거미’ 독샘서 슈퍼박테리아 잡는 항생물질 발견
국내 연구진이 자생거미로부터 항균제 내성을 가진 병원균을 억제하는 신종 항균펩타이드를 찾아냈다. 여러 종류의 항생제에 끄떡하지 않는 ‘슈퍼박테리아’가 확산하는 상황에서 항균펩타이드는 대부분의 생명체에서 발견되고 병원균 초기감염을 방어한다는 점에서 차세대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13일 국제학술지 ‘미생물학 프론티어스’ 지난달 호에 게재된 논문을 보면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과 성정석 동국대 교수 연구진은 최근 컴퓨터 가상실험(in silico)을 통해 긴호랑거미 독샘 전사체에서 신종
‘#나는미래다’, 미래의 주역이 꿈꾸는 세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는 8일, 대전 드림 아레나에서 ‘#나는미래다 국민보고회 및 본선대회’를 개최했다. ‘#나는미래다’ 프로젝트는 어린이들이 꿈꾸는 미래 세상을 현실화시키겠다는 목표로 신규 R&D 주제를 발굴하는 국민 아이디어 오디션이다. 이날 본선대회에는 기억재생 나노칩’을 제안한 박민규 씨가 2052점(총점 2062점)을 획득해 대상을 수상했다.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8월 19일, 06시 20분) (0) | 2023.08.19 |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8월 18일, 06시 20분) (1) | 2023.08.18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8월 16일, 06시 21분) (0) | 2023.08.16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8월 15일, 06시 21분) (0) | 2023.08.15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8월 13일, 06시 21분) (0) | 2023.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