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간 과학 인기 뉴스 TOP 10 입니다. (23년 07월 24일, 06시 20분)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세계는 지금, 미세플라스틱과의 전쟁 중
미세플라스틱이 인간과 지구의 건강에 위협이 되고 있다. UN은 미세플라스틱이 인간과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초기 단계일 뿐이라며,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해서는 해양과학 10년의 목표에서 우선 순위에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ChatGPT가 교육을 변화시키고 있다?
OpenAI에서 공개한 AI기반 챗봇 'ChatGTP'는 공개된지 수일만에 10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이용하기 시작했다. 최근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ChatGTP'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화학 반응의 ‘신기루’, 사진 찍듯 포착
그간 모습을 공개한 적 없는 질소화반응 도중 생성되는 중간체의 모습이 최초로 공개됐다. 효율을 높인 차세대 촉매 개발에 핵심 단서를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세계적 소프라노와 인공지능의 만남
지난달 27일 '이노베이트 코리아 2023' 행사에서 소프라노 조수미가 인공지능(AI)과의 협동 공연을 펼쳤다. '인간과 AI의 조화'를 목표로 한 실험 무대, 그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본다.

‘체온으로 작동’ 웨어러블 기기 나오나…KIST, 기초기술 개발
사람의 체온처럼 표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출되는 열을 전기로 바꿔 효율을 한층 높이는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개발됐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피부와 닿는 웨어러블 기기 센서를 다른 전원 없이 체온으로 구동시킬 수 있을 전망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소프트융합소재연구센터 정승준, 김희숙 박사 공동연구팀이 수직 방향으로 나오는 열에너지를 수확해 전기를 만드는 3차원 프린팅 기반 소프트 열전소자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열전소자는 소자

“면역항암제가 미래”…정부지원·AI활용 등으로 개발에 사활
면역 체계를 통해 암을 물리치는 면역항암제 개발에 정부와 학계, 업계가 힘을 모으고 있다. 18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지난해 승인된 항암제 임상시험 259건 중 면역항암제 임상은 약 24%인 62건이었다. 이는 전년에 승인된 항암제 임상 중 면역항암제의 비중이 약 20%였던 것보다 늘어난 수치다. 항암제는 흔히 1세대 화학항암제, 2세대 표적항암제, 3세대 면역항암제로 구분된다. 세대 구분이 꼭 항암제의 효능과 직결되는

극한호우의 시대, 경험 못한 재난이 온다…근본 틀 바꿔야
지난 11일 서울 동남부 일부에 ‘극한호우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된 이후 극한호우란 단어는 빠르게 일상어로 자리 잡았다. 지난달 25일 장마가 시작한 뒤 집중호우보다 2배 이상 강한 비가 매일 어딘가에 쏟아졌기 때문이다. 14명 목숨을 앗아간 지하차도 침수 사고가 발생한 충북 청주시의 지난 15일 일강수량은 256.8㎜였다. 지금과 같은 기상관측이 시작한 1967년 이후 청주시에서 3번째로 많은 양이었다. 하지만 근래에 비슷한

“수소차 대중화엔 수소 저장·운송 돕는 암모니아 활용이 관건”
수소 모빌리티 보급을 확대하려면 수소의 저장·운송을 도울 수 있는 암모니아를 원활히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은 18일 ‘수소 모빌리티의 개화를 돕는 암모니아’ 보고서에서 “수소차 보급 확대를 위해 에너지 전달체인 수소의 저장·수송이 중요하다”며 “이를 도울 수 있는 암모니아 활용의 기술·경제적 장애를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한자연에 따르면 수소는 높은 질량 에너지 밀도를 지닌 청정

‘경제는 발전, 탄소는 감축’ 사회로의 이행, 이제는 실전이다
글: 류준영 머니투데이 미래산업부 차장(본지 편집위원) ‘계획을 위한 계획의 시대’는 끝 ‘경제는 발전, 탄소는 감축’ 사회로의 이행, 이제는 실전 한국은 녹색성장 종주국‥‘퍼스트 코리아’ 이룰 것   “전선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데이터센터는 24시간 서버·스토리지 장치를 가동하고,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하므로 전력소비가 매우 큰 ‘전기먹는 하마’로 불리죠. 이런공간에서 AI가 공기흐름을 분석해 보다 효율적으로 온도 조절을 할

“비행기 조종도 이제 AI 로봇이 직접”…KAIST서 시연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이 이제 각종 비행기를 직접 조종할 수 있는 수준까지 기술이 올라왔습니다.” 19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N1관에서 만난 심현철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휴머노이드 파일럿인 ‘파이봇’에 대해 “조종사 로봇은 항공기의 자동 비행은 물론 항공기의 모든 장치를 사람처럼 직접 조종간을 조작해 작동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165㎝ 키에 65㎏인 파이봇은 이날 시뮬레이터 조종석에 실제로 앉아 왼손으로 키를 돌려 시동을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