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인종 장벽 없앤 인간 ‘판게놈 참조 지도’ 초안 나왔다
47개 인종의 유전적 특성을 반영한 게놈 참조 지도가 나왔다. 참조 지도는 일종의 ‘표준 유전정보’로 개인의 건강 상태나, 질병, 치료 결과 등을 예측할 수 있는 단서로 쓰인다. 한 사람의 게놈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첫 참조 지도가 나온 지 20년 만의 일이다. 인간 판게놈 참조 지도 컨소시엄(HPRC) 연구진은 지난 2년간 구축해온 판게놈(범유전체) 참조 지도 초안을 5월 1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를 비롯한 여러 학술지에 동시에 공개했다.
우주 ‘식집사’는 빛 대신 이산화탄소로 식물을 키운다?
우주에서 식물을 재배해 자급자족할 수 있는 날이 더 가까워질 것으로 보인다. 로버트 진커슨(Robert Jinkerson) 캘리포니아대학 교수와 연구팀은 빛이 없는 어둠 속에서 식량을 재배할 수 있는 새로운 메커니즘을 연구해 Nature Food지에 보고했다.
‘모나리자’의 눈썹, 짙고 두꺼웠을 수도 있다?
만프레드 카이저 교수와 네덜란드 에라스무스대학 의료센터 연구진은 유럽인의 눈썹 두께에 숨겨진 유전학적 특이성을 발견해 보고했다.
‘암 치료 효과 향상’ 기계연, NK세포 3D 바이오프린팅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면역세포 기능을 향상해 암세포를 제거할 수 있는 3차원(3D)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개발했다.
리튬이온전지 열폭주 막는다…KIST, 난연성 전해액 개발
리튬이온전지의 열폭주 현상을 막을 수 있는 난연성 전해액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서동화 교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용진, 백자연 박사 공동연구팀이 리튬이온전지 전해액으로 쓰이는 선형 유기카보네이트 분자 구조를 제어해 상온에서 불이 붙지 않는 새로운 난연성 전해액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리튬이온전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발열 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 불이 붙는 열폭주 현상이 단점으로 꼽힌다.
디지털 헬스케어, 바이오경제 2.0의 핵심으로 도약하나
세계 주요국은 바이오경제 2.0로의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바이오자원과 바이오기술을 기반으로 사회·경제 발전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실현하는 경제 메커니즘, 바이오경제에 대해 알아보자.
“원숭이 동성 간 성적 행동 빈번히 발생…유전·진화 가능성”
레서스원숭이 집단에서 동성 간 성적 행동(SSB : Same-sex sexual behaviour)이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훨씬 흔하며 이런 행동이 진화 과정에서 생겨나 유전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북극 빙하 속 또다른 온난화 폭탄…”지하수샘, 메탄 대량 배출”
지구 온난화로 북극 빙하가 빠르게 녹으면서 드러나고 있는 지하수 샘에서 온실효과가 이산화탄소보다 80배나 강한 메탄가스가 대량 방출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가브리엘 클레버 교수와 노르웨이 스발바르대 앤드루 호드슨 교수팀은 8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에서 북극 빙하가 녹으면서 드러난 지하수 샘에서 메탄이 대량 방출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클레버 교수는 "이 지하수 샘들은 세계 메탄가스 배출원 통계에 잡히지 않던 것들로 향후 더 많은 샘이 노출되면서 메탄 배출도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며 "북극과 영구동토층에서 배출되는 메탄이 온난화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지스트, 효율 높인 광전극 개발…”그린수소 생산성 향상”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이 주목받고 있는 상황에서 수소에너지는 필수적으로 생산해야 하는 친환경 에너지다. 대부분의 수소는 화석연료로 생산되고 부산물로 이산화탄소까지 배출하기 때문에 태양광으로 생산한 ‘그린 수소’ 생산 기술이 필요하다. 연구팀은 그린수소를 생산할 때 쓰는 광생성 캐리어의 손실을 억제하는 핵심기술을 적용해 세계적 수준의 페로브스카이트 광전극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광전극 내부에서 결함을 제어하고 외부에서 물분해 반응을 촉진해 내외부
제1회 세계 한인 과학기술인 대회 마지막날, 다양한 기조강연과 포럼이 진행되다
4일간의 대장정을 마무리하는 대회 마지막 날에는 풍부한 국내 과학기술인과의 교류 및 연구성과 공유가 이루어졌다.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7월 19일, 06시 21분) (0) | 2023.07.19 |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7월 18일, 06시 21분) (0) | 2023.07.18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7월 16일, 06시 21분) (0) | 2023.07.16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7월 15일, 06시 21분) (0) | 2023.07.15 |
[과학] 주간 인기 뉴스 TOP 10 (23년 07월 14일, 06시 20분) (0) | 2023.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