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간 과학 인기 뉴스 TOP 10 입니다. (23년 03월 23일, 06시 20분)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수면시 안대 착용은 기억력과 인지능력을 상승 시킨다
최근 수면과 안대에 관련된 재미있는 연구가 공개되었다. 수면 저널(Journal of Sleep)에 발표된 한 연구에 따르면, 안대를 착용하고 수면을 취하면 기억력과 인지력이 향상된다고 한다. 영국 카디프 대학교의 비비안나 그레코 박사(Dr. Viviana Greco)가 이끄는 연구팀은 서파 수면(SWS: Slow-wave sleep)이라고 불리는 수면의 핵심 단계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낸 참가자들이 시각 기억력과 주의력 테스트에서 더 나은 성과를 보인 결과를 공개했다.

[우크라 침공] 전쟁은 물과 토양을 독성으로 만들고 있다
독성 성분이 포함된 탄약 자체는 말할 것도 없으며 여러 부식성 화학 물질은 전쟁 환경에 계속 남아 있게 된다. 최근 로이터 통신의 제보를 따르면, 우크라이나의 농경지 중 최소 1,050만 헥타르가 화학물질로 오염되었으며 이는 세계 식량 안보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

우주에서 진행되는 신약개발
국제우주정거장(ISS)은 약 400 킬로미터 상공, 지구 저궤도(low Earth orbit)에 떠 있는 구조물입니다. 1980년대 초에 미국, 러시아, 일본 등의 국가들이 독립적으로 우주 정거장을 발사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는데, 냉전 종식 이후에 각국의 우주 정거장 계획을 하나로 합쳐서 1998년 발사한 것이 ISS입니다.

미래교육 전망(2)_우리가 중단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새로운 미래를 시작하기 위해 교육, 지식, 학습에 대한 기존의 사고방식을 성찰하고 ‘중단’해야 할 것을 찾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성장과 발전 이면에 내재된 위험이 점차 인류를 지속불가능한 미래로 이끌어가기 시작했고, 인류는 “오늘 우리의 선택이 우리가 공유하는 미래를 결정하게 되는” 상황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코로나로 인한 정신 건강 피해는 생각보다 미미하다?
영국 의학 저널에 새로 소개된 잉 선 박사(Dr. Ying Sun)가 이끄는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팬데믹이 우울증과 불안 증상에 미치는 영향은 이전의 결과와 달리 미미할 수 있다고 한다.

3D 프린팅으로 인공 심장 제작…연구팀 "약물 독성 관찰 가능"
약물 독성을 미리 관찰할 수 있는 인공 심장이 3차원 프린팅으로 개발됐다. 포항공대(포스텍)는 미국 조지아텍 연구팀과 공동으로 바이오하이브리드 3D 프린팅 기술로 약물 심독성을 체외에서 관찰할 수 있는 인공 심장 모델을 프린팅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포항공대 기계공학과·IT융합공학과 장진아 교수, IT융합공학과 통합과정 용의중씨, 시스템생명공학부 통합과정 김동환씨, 기계공학과 정완균 교수, 김기훈 교수, 신소재공학과 정운룡 교수 연구팀과 미국 조지아텍

SW·AI 교육의 현주소, 플랫폼에서 찾다
한국과학창의재단은 한국과 미국의 AI교육 콘텐츠 개발 및 활용 사례를 공유하고, 학교 교육의 관련 이슈를 논의하기 위한 을 지난 6일에 개최했다. 이번 콜로키움은 ‘SW·AI 교육의 현 주소와 방향 모색: 韓-美 기업 플랫폼 활용사례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산학연 전문가 및 교사 등의 참여로 진행됐다.

유럽의 STEM 교육 (4)
STEM 이란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그리고 수학(Mathematics) 분야를 융합한 통합 교육을 뜻한다. STEM 교육은 ‘창의 융합 인재 육성’을 목표로 기존의 획일적인 교육방식을 넘어, 학문 간 연계 학습과 결합을 통해서 보다 ‘융합적인 사고방식’과 ‘문제 해결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육을 수행한다.

KAIST, 공학생물학대학원 설립…31일부터 온라인 원서 접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공학생물학대학원을 설립하고 가을학기부터 운영에 들어간다고 17일 밝혔다. 공학생물학은 생명과학에 공학적 기술개념을 도입해 인공적으로 생명체의 구성요소·시스템을 설계·제작·합성하는 학문·기술이다.   바이오 연구개발과 디지털·인공지능·로봇 자동화 기술을 융합해 고속·대량·저비용화를 실현하고, 기존 바이오 기술의 한계를 극복해 환경·의약·화학·에너지 등 전방위적 산업적 활용과 막대한 시장 창출이 전망되는 분야이다. 올해 가을학기 공학생물학대학원 석·박사과정 온라인 원서접수는 오는 31일부터 시작된다. 입시설명회도 31일 오후 4시부터

국민 3명 중 1명 챗GPT 써봤다…90% "신뢰도 보통 이상"
국민 3명 중 1명은 인공지능(AI) 기반 대화형서비스인 챗GPT를 사용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달 22∼28일 전국 성인 1천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챗GPT 사용 경험을 묻자, ‘호기심에 한두 번 사용해 봤다’는 응답자가 30.2%에 달했다. ‘실효성과 재미를 느껴 자주 사용한다’는 응답 비율은 5.6%였다. ‘한 번도 사용해본 적 없다’는 응답자는 64.2%를 차지했다. 세대별로는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