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간 과학 인기 뉴스 TOP 10 입니다. (23년 03월 10일, 06시 20분)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과학자들이 말하는 ‘늙음’의 진짜 원인_1편
노화의 생물학적 원인에 대한 확장된 정의가 지난 1월 국제학술지 ‘Cell’을 통해 보고됐다.

초콜릿의 ‘부드럽고 달콤한 여행’
초콜릿이 입안에 들어가는 순간부터 입안에 머금고 있는 내내 부드러운 느낌은 바로 윤활작용(lubrication) 덕분이다. 영국 리즈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연구진은 초콜릿이 입 안에서 고체에서 부드러운 유화액(emulsion)으로 바뀌는 물리적 변화과정을 해독해 ACS에 발표했다.

MIT가 뽑은 2023년 10대 미래기술
120년 전통의 는 매년 ‘가장 주목할 10대 미래기술’을 발표합니다. 올해는 인공지능, 바이오테크, 금속, 반도체, 배터리 등의 기술이 포함되었습니다. 2023년 MIT가 뽑은 10대 미래기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과학자들이 말하는 ‘늙음’의 진짜 원인_2편
과학자들은 노화 관련 연구를 종합하여 올해 노화의 12가지 특징을 새롭게 정의해 발표했다.

AI가 세 종류인 건 아시나요?…초인공지능까진 아직 먼 길
사람과 비슷한 수준으로 대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챗봇 챗GPT가 세계적 선풍을 일으키면서 AI의 종류에도 관심이 쏠린다. 7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학계와 업계에서는 AI를 지능화 수준과 적용 범위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한다. 챗GPT 등장으로 주목받는 ‘범용 인공지능(AGI)’과 인류의 지능을 뛰어넘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지식을 강화하는 ‘초인공지능(ASI)’, 그리고 특정 작업만 수행할 수 있지만, 현재 가장 널리 활용하는

‘Boys, Be ambitious’에 숨겨진 심리학적 비밀
청소년들의 목적의식이 삶의 만족도와 깊은 관련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Boys, be ambitious” 메시지처럼 목적의식이 큰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또래보다 더 행복하고 삶에 만족감을 느끼는 것으로 밝혀졌다.

탄소 배출 없이 햇빛·물로 생산하는 ‘그린 수소’ 시대 앞당긴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은 탄소 배출 없이 태양광으로 물을 전기 분해해 ‘그린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전극 보호막’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그린 수소는 신재생 에너지 등을 이용해 탄소를 배출하지 않고 생산하는 수소를 일컫는데, 태양광을 흡수할 수 있는 전극을 물에 담근 후 전기로 물을 분해해 수소를 얻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다만 태양광과 물에 의해 전극이 쉽게 부식되는데, 이를

유럽의 STEM 교육 (1)
STEM 이란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그리고 수학(Mathematics) 분야를 융합한 통합 교육을 뜻한다. STEM 교육은 ‘창의 융합 인재 육성’을 목표로 기존의 획일적인 교육방식을 넘어, 학문 간 연계 학습과 결합을 통해서 보다 ‘융합적인 사고방식’과 ‘문제 해결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육을 수행한다.

지구온난화의 경고…“2060년대엔 2년마다 가을 폭염 발생”
2021년 10월 한국에서 나타난 전례 없는 가을 폭염이 2060년대가 되면 2년마다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환경공학부 민승기 교수, 김연희 연구교수 연구팀이 울산과학기술원, 국립기상과학원, 영국 기상청과 공동연구를 통해 이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7일 밝혔다.   2021년 10월 상반기 한국의 평균 기온은 19.9도로 예년 평균보다 3.9도 높은 이상고온 현상을 보였다. 이는 수천 년에 한

KAIST, 표적단백질 ‘시캠1’ 발굴…새로운 암 면역치료법 제시
종양 내 존재하면서 면역세포의 암세포 제거 능력을 저해하는 기능의 ‘조절 T세포’만을 골라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 단백질이 발굴됐다. 6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따르면 의과학대학원 박수형 교수 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 내 존재하는 조절 T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 단백질인 시캠1(CEACAM1)을 찾아냈다.   공동연구팀은 신장암 환자에게 얻은 조직·혈액을 분석해 CEACAM1이 혈액에 존재하는 조절 T세포에는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