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주간 과학 인기 뉴스 TOP 10 입니다. (23년 02월 27일, 06시 20분)
정보 제공용으로 참고 하시길 바랍니다.

제임스 웹, “존재해서는 안 되는” 거대 은하들을 발견하다
연구팀은 관측 결과7.4~9.1에 달하는 적색편이 값을 보이는 5억~7억 년 정도의 은하 후보를 6개나 찾아냈다. 위 은하들은 대략 우리 태양의 100억 배에서 1,000억 배에 달하는 질량을 가지고 있다.

심리 치료견, 사회적 촉매 역할을 하다
심리 치료견은 말 그대로 사람들을 정신적 혹은 감정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 훈련된 개를 뜻한다. 치료견은 주로 사람이 겪는 불안장애나 우울증, 그리고 극도의 스트레스를 치료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있다. 해외 여러 연구에 따르면 심리 치료견을 이용하여 사람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고, 스트레스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며, 실제로 치료견을 활용한 심리치료는 꽤 효과적임이 증명되고 있다.

2025년부터 중1·고1 수학·영어과목에 AI디지털교과서 쓴다
2025학년도부터 초등학교 3∼4학년과 중1·고1 학생들은 수학·영어·정보 교과를 공부할 때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를 쓰게 된다. 교육부는 전국 7개 시·도에서 디지털 선도학교 300곳을 뽑아 운영하고, 디지털 기술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선도교사단도 선발해 지원한다. 교육부는 2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학령인구 감소와 기술 발달로 학생 개인별 맞춤형 수업이 필요해짐에 따라

‘머리카락 200분의1 크기’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 픽셀 구현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물리학과 조용훈 교수 연구팀이 집속 이온 빔을 이용한 초고해상도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기술로 평균 머리카락 굵기인 약 100미크론(㎛·100만분의 1m)의 200분의 1정도인 0.5 미크론 규모의 픽셀을 구현할 수 있다.   집속 이온 빔 기술은 재료공학·생물학 등 분야에서 초고배율 이미지 처리나 나노 구조체 제작 등에 널리 쓰여 왔다. 하지만 LED와 같은

‘AI 생성 그림 저작권은’…문체부, AI시대 저작권 해법 찾는다
챗GPT 등으로 대표되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누구나 일상에서 활용하는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기술 발전에 따라 일반인도 쉽게 AI를 활용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진 반면, 기존 저작권법 체계에선 생각할 수 없던 다양한 이슈도 함께 대두됐다. AI 학습을 위해 인간의 저작물을 저작권자 허락 없이 활용하는 것이 타당한지, AI가 산출한 글과 그림·음악 등을 저작물로 보호해야 하는지, 만약 보호한다면

AI융합교육, 학교현장부터 준비돼야…
교육부가 주최하고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한 ‘2023 AI융합교육 동계 워크숍’이 지난 8, 9일에 성료했다. 이번 워크숍은 SW·AI교육 사업담당자 간 네트워크 구축 및 AI융합수업 우수사례 공유를 통해 학교 중심의 정보교육 현안을 점검하고 의견수립을 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문체부, 직원대상 챗GPT 교육…“문화분야 변화·활용 모색”
문화체육관광부는 세계적인 이슈인 ‘챗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문화 분야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찾고자 직원 역량 강화교육과 아이디어 공모전을 추진한다.   먼저 21일 최재붕 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가 ‘챗GPT시대, 문화 디지털 혁신의 필연성과 방향’을 주제로 온라인 강의를 진행한다. 직원들은 강의를 통해 챗GPT 등 디지털 기술의 성장과 사회변화에 따른 문체부의 역할과 문화행정 방향을 고민하는 시간을 갖는다. 27일에는 AI 기반

옷 안에 착용하는 고출력·초경량 보행 보조로봇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인공지능(AI)·로봇연구부문 안범모 박사 연구팀이 부피·무게·소음을 줄여 옷 안에 착용할 수 있는 보행 보조로봇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서울대학교병원과 공동으로 개발한 보행 보조로봇 ‘ASSIST’는 소형 공압(압축공기에 의한 압력) 발생기가 장착된 무게 1.9㎏의 공압 백팩과 0.6㎏의 초경량 로봇으로 구성됐다. ASSIST는 공압 백팩에서 만들어진 고압 공기를 튜브를 거쳐 로봇에 전달한다. 사용자 보행 특성에 맞춰 걸을 수 있도록

국내 공동연구진, ‘갑오징어 눈’ 닮은 고해상도 카메라 개발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 등 국내 연구진이 바닷속 불리한 환경에서도 먹잇감을 잡는 갑오징어의 눈을 모방해 불규칙한 빛 조건에서도 고대비·고해상도 영상을 얻을 수 있는 카메라 시스템을 개발했다.   23일 지스트에 따르면 갑오징어는 위쪽 빛은 차단하고 아래쪽 빛은 많이 받아들이기 위해 동공이 W자 모양이 돼 빛 조건을 조절한다. 망막에는 아래쪽 빛이 들어오는 영역에 광(光)수용체들이 밀집돼 있어 먹잇감이 지나다니는 아래쪽으로 고해상도의

정부, 보이스피싱범 잡는 AI 개발…“한국어 학습해 정확도↑”
정부가 보이스피싱범의 목소리를 기존 범죄자 음성 데이터와 비교해 검거 속도를 높이는 인공지능(AI) 모델을 자체 개발했다. 기존 외국어로 학습된 음성분석 모델보다 한국어 사용 범죄자의 동일인 여부를 판별하는 정확도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행정안전부는 새 음성분석 모델을 이달 말부터 음성 감정 등 사기범 수사 과정에 활용하기로 했다고 22일 밝혔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하 국과수)은 그동안 러시아와 영국에서 개발한 음성분석



출처: https://www.sciencetimes.co.kr/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