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17년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박사후국내/외연수) 신규과제 최종선정 및 협약체결 안내>
※ 해당 내용은 주관기관으로의 공문 발송 및 재단 홈페이지의 게시를 통해 이루어지며, 연구자에게 개별연락되지 않습니다.
2017년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박사후국내/외연수) 신규 최종선정 과제에 대한 개별협약 체결 및 협약용계획서 제출을 다음과 같이 안내해드리오니,
기한 내에 완료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대상 사업 및 과제(※ 세부 내용 붙임 1. 참조)
○ 2017년 이공분야 학문후속세대양성사업 신규 최종선정 총 270과제(박사후국내연수 170과제, 박사후국외연수 100과제)
※ 각 연구자 및 주관기관별 최종선정 과제 목록은 연구사업통합지원시스템(http://ernd.nrf.re.kr)에서 확인 가능
나. 전자협약 체결 및 협약용계획서 제출(※ 세부 내용 붙임 2. 참조)
○ 방법: 연구사업통합지원시스템(http://ernd.nrf.re.kr)을 통한 전자협약 및 협약용계획서 온라인 제출
○ 기한: ~ ’17.8.25.(금) 18시까지 (※ 주관기관 전자서명/승인 완료 포함)
※ 상기 기한 내 협약 완료 과제에 한해 연수비 선 지급 예정, 이후 협약과제는 순차적으로 지급 예정
다. 향후 일정 (※ 추진 상황에 따라 변동 가능)
○ (’17.8월 말) 대상기관 협약 완료 현황에 따라 연수비 지급
○ (’17.9월 초) 협약용계획서 검토/승인 및 예산편성 확정
라. 유의사항
○ 연수자 및 주관기관은 반드시 붙임1. 안내문을 확인 바람.
- 연구책임자의 전임 임용 또는 타 기관 이직 등으로 인해 지원 자격에 부합하지 않는 자는 협약 체결 전 재단 사업 담당자에게 위의 사실을 즉시 통보하고 선정 포기를 진행하여야 함.
※ 협약 체결 이후에라도 관련 규정에 따라 과제를 수행할 수 없는 제한 조건 등이 확인되는 경우, 선정을 취소하고 협약 해약 조치함.
- 최초 신청 당시 박사학위취득예정서 (또는 그에 상응하는 서류)를 제출한 자는 협약용계획서 온라인 제출 시 박사학위취득증명서를 추가로 제출하여야 함.
※ 제출 절차 관련 세부 사항 붙임 참조
※ 박사학위취득 최종 완료 여부가 확인되지 않는 자는 지원자격 미충족으로 선정취소 처리함.
○ 교육부 소관 학술연구지원사업 연구책임자는 의무적으로 협약서 상 연구 개시 3개월 이내에 사이버연구윤리 교육을 의무 이수해야함.
○ 연구책임자가 6개월 이상 국내/외 파견연구를 할 경우, 반드시 (연수개시일 이후) 사전에 전문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함.
※ 최소 1개월 전 주관연구기관을 통한 별도의 협약 변경 신청 필요
마. 문의처
○ 협약체결 및 협약용계획서 제출, 성과 등록, 연구비 집행 및 정산 관련 문의
- 한국연구재단 연구상담센터 ☏ 1544-6118
○ 최종선정 평가 결과 및 협약용계획서 검토/승인 관련 문의
- 기초연구본부 각 학문단별 평가 담당자 (☏ 042-869-내선번호 4자리)
자연과학단 6552, 생명과학단 6531, 의약학단 6054, 공학단 6541, ICT융합연구단 6572
○ 사업 수행 관련 문의 : 기초연구본부 일반연구지원팀 6063
https://www.nrf.re.kr/biz/notice/view?nts_no=93245&menu_no=44&biz_no=&search_type=&search_keyword=&page=
선정된 사업개수가 들어왔던 것보다 훨씬 많네요. 박사후 국외 연수 사업 개수가 약 260개정도 되는 것 같네요.
붙임1. %28주관기관용%29 신규 최종선정 과제 목록_국내외연수_201708.xlsx
'포닥'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 News 2023-2024 학부 랭킹: 주요 대학 순위 분석 (0) | 2023.09.19 |
---|---|
2021년 제2차 SeoulTech 포닥 연구교수(연구전담 초빙교원) 연구지원사업 공고 (0) | 2021.05.01 |
美실업률 치솟자…트럼프 "유학생 취업 제한" (0) | 2020.06.21 |
2019년 박사후국외연수 신규과제 협약 체결 및 연수비 지급 안내 (0) | 2019.08.31 |
2017 이론 물리 포닥 (Perimeter Institute) 공고 (0) | 2016.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