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용어 정의 및 설명
액화이산화탄소 (LCO₂, Liquefied CO₂)
이산화탄소를 압축하거나 냉각하여 액체 상태로 만든 물질. 보통 -56.6℃ 이하 또는 고압 상태에서 액화되며, 포집된 CO₂를 저장하거나 운송할 때 사용됨.
운반선 (Carrier Vessel)
특정 화물을 바다를 통해 운송하도록 설계된 선박. 액화이산화탄소운반선은 액체 상태의 이산화탄소를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도록 특수 설계됨.
저온환경 (-55℃)
극저온(cryogenic)이라 부르며, 물질을 액화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매우 낮은 온도 조건. 이산화탄소를 액체 상태로 보관하려면 약 -55℃의 온도가 필요함.
Bi-lobe형 저장탱크
저장탱크의 내부가 두 개의 반구형 구조로 나뉘어진 설계로, 액화가스를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됨. 공간 효율성과 안전성이 높음.
액화석유가스 (LPG, Liquefied Petroleum Gas)
주로 부탄, 프로판 등으로 구성된 가스를 액화한 연료. 주로 가정용 연료나 차량 연료로 사용됨.
암모니아 (Ammonia, NH₃)
냉매, 비료, 수소 운반체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는 화학물질. 최근에는 탄소중립 연료로도 주목받고 있음.
육상전원공급장치 (AMP, Alternative Maritime Power)
정박 중인 선박이 자체 발전기를 끄고 육상 전력을 공급받도록 하는 시스템. 선박 배출가스를 줄이기 위한 친환경 기술.
질소산화물저감장치 (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선박 엔진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NOx)을 암모니아 또는 요소와 반응시켜 질소와 물로 전환시키는 환경 보호 장치.
내빙설계 (Ice-class Design)
선박이 빙해(얼음이 많은 바다)에서도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도록 선체와 추진장치를 강화한 설계. 극지 항해에 필수적.
탄소 포집·저장 (CCS, Carbon Capture and Storage)
이산화탄소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지 않고, 발생 지점에서 포집 후 지하에 저장하거나 다른 방식으로 격리하는 기술. 온실가스 저감 대책의 핵심 기술 중 하나.
탄소중립 R&D 실증설비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기술 연구를 실제 환경에서 실험·검증할 수 있는 설비. 선박 관련 탄소중립 기술을 실증하는 데 사용됨.
용접재료 (Welding Material)
금속을 접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재. 극저온 저장탱크에 쓰이는 용접재료는 고강도, 내열·내한성이 중요함.
'일반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건이 탈 때의 과학: 산소와 새로운 기체의 탄생 (1) | 2024.12.21 |
---|---|
Grubbs Catalyst (그럽스 촉매) (0) | 2024.11.01 |
일산화탄소, 화재 시 물로 제거 불가능…신속한 대피가 최우선 (0) | 2024.08.23 |
흙탕물과 일반 물의 부력이 같나요? (0) | 2024.06.29 |
화학에서의 적정(Titration)이란? (1) | 2024.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