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국 대학교 숫자 (2021) 와 연도별 추이 변화

영웅시대 2022. 6. 1. 08:24

KOSIS 에서 제공하는 전국 대학교 숫자 입니다. 전국적으로 총 336개의 대학교가 있고, 경기도가 61개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서울 특별시가 48개 경상북도가 33개가 있었습니다. 

 

일반대, 전문대, 교육대, 산업대 등을 분류해서 통계가 나온 수치인것 같은데 다른 자료들과는 차이가 있는 것 같아 보이기도 합니다. 수치의 상세 내용을 확인을 좀 해봐야할 것 같습니다.

 

연도 2021 2021 2021 2021 2021
행정구역별 대학교 수(A+B+C+D) 일반대(A) 전문대(B) 교육대(C) 산업대(D)
전국 336 190 134 10 2
서울특별시 48 38 9 1 -
부산광역시 21 12 8 1 -
대구광역시 11 3 7 1 -
인천광역시 7 3 3 1 -
광주광역시 17 10 6 1 -
대전광역시 15 11 4 - -
울산광역시 4 2 2 - -
세종특별자치시 3 2 1 - -
경기도 61 30 31 - -
강원도 17 8 8 1 -
충청북도 17 11 5 1 -
충청남도 21 13 6 1 1
전라북도 18 8 8 1 1
전라남도 19 10 9 - -
경상북도 33 18 15 - -
경상남도 20 9 10 1 -
제주특별자치도 4 2 2 - -

 

e-나라 지표에서 대학교 관련 데이터(https://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48)를 찾아보니 추가로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 더 있어서 데이터를 다운받아 연도별로 대학교 수 변화 추이를 관찰해봤습니다.

 

1980년부터 2021년까지의 대학교 수 변화와 직원수 변화를 정리해놓은 데이터였습니다.

출처: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

주석 : 1. 대학에는 산업대학 및 교육대학 포함(학생수는 재적학생 기준)      

 

다음 데이터를 보시면 1987년 이전까지는 대학보다는 전문대학수가 더 많았었습니다. 1987이후로 대학교수가 전문대학수를 앞지르기 시작했고 그 이후에는 대학의 수가 전문대학보다 적은적은 없었습니다.

 

1987년 기점으로 교육 정책의 변화가 있었는지 혹은 나라 전체적으로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히스토리를 알아야 해당 내용에 대한 분석이 더 정확하지 않을까 합니다.

 

시기상으로 보면 1987년은 민주 항쟁이 크게 일어난 시기였고, 기사들을 찾아보니 1987년 대학자율화 조치가 있었고 그 이후부터 대학들이 새롭게 많이 생겨나지 않았나 하는 추정을 하게 됩니다. 또한 대학 자율화 조치 그리고 사립대 등록금 자율화 조치 이후에 등록금들도 많이 올리게 되면서 대학을 운영하는 재단 측에서도 학교가 교육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수익 사업이 될 수 있다는 생각들도 있지 않았을 까 추정합니다.

기사 출처: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106101733992094

 

1987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던 대학의 수는 2000년대 초반까지 지속상승하다 그 이후에는 200개 내외로 유지가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위 기사를 더 찾아보니 1995년 김영상 정부때 5.31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대학설립 준칙주의가 도입되면서 대학 수가 많이 늘었다고 평가를 하고 있네요. 위 그래프를 보더라도 1990년도 초반 부터 대학수의 기울기가 커지기 시작하면서 1995년 그해즈음 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도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일보 기사에서 내용을 잘 정리해주고 있는 것 같긴합니다. 그 기사 내용과 수치를 비교해보니 확실히 1995년 기점으로 대학수 기울기가 커지고 숫자고 확늘어나고 있습니다.